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우화(金遇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6B0D654B1656X0
자(字)이현(而顯)
생년1656(효종 7)
졸년1727(영조 3)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산(光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시성(金是城)

[상세내용]

김우화(金遇華)
1656년(효종 7)∼1727년(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이현(而顯).

부친은 김시성(金是城)이다.

어렸을 때부터 뜻이 원대하고 기개가 커 남에게 구속받지 않는 기풍이 있었다.

1684년(숙종 10) 진사가 되었고 1695년 황감별제(黃柑別製)에 장원하여 특별히 주택을 하사받았으며 그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에 배속되었다. 뒤에 전적으로 승진되었으며 벼슬이 봉상시정(奉常寺正)에까지 이르렀다.

당시 정치적인 대사건이 빈번하자 세상의 즐거움을 잃고 호서의 연산(連山)으로 거처를 옮겼다. 한때 조정에서는 그를 천거하여 대각(臺閣)에 취임시키려 하였으나, 당쟁으로 모함을 받게 되자 당시 사론(士論)이 매우 탄식하고 애석하게 여겼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집필자]

조정기(趙楨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