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안(道安)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B3C4C548FFFFB1638X0 |
이명(異名) | 월저(月渚) |
생년 | 1638(인조 16) |
졸년 | 1715(숙종 41) |
시대 | 조선중기 |
활동분야 | 종교 > 불교인 |

부 | 유보인(劉輔仁) |
출신지 | 평양 |
저서 | 『월저당대사집(月渚堂大師集)』 |
저서 | 『불조종파도(佛祖宗派圖)』 |

[상세내용]
도안(道安)
1638년(인조 16)∼1715년(숙종 41). 조선 후기의 승려. 성은 유씨(劉氏). 법호는 월저(月渚). 도안은 법명이다. 평양 출신.
유보인(劉輔仁)의 아들로 9세에 출가하여 천신(天信)의 제자가 되었으며, 그뒤 금강산에 들어가서 의심(意諶)의 지도를 받으면서 휴정(休靜)의 밀전(密傳)을 연구하여 화엄학(華嚴學)과 삼교(三敎)에 두루 통하였다.
1664년(현종 5) 묘향산에 들어가서 『화엄경』의 대의를 강의하였는데 그때부터 사람들이 화엄종주(華嚴宗主)라고 불렀다. 『화엄경』을 강의할 때마다 항상 수백명의 청중이 참여하여 당시에 보기 드문 대법회가 되었다.
또한, 『화엄경』과 『법화경』 등의 대승경전과 『예념왕생문(禮念往生文)』 등의 염불관계서적 10여종을 인출하여 배포하였고, 『회연기(會緣起)』에 따라서 『화엄경』을 국역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한 스승 의심의 사업을 이어받아 국역작업을 완수하였다.
그가 어려움을 무릅쓰고 불전 간행에 힘을 기울인 것은 ‘척박한 마음의 땅을 개간하고 크나큰 원의 종자를 심어 지혜광명의 나무를 가꾸고자’ 한 때문이었다.
1697년(숙종 23)의 정축옥사 때는 명성을 시기한 소인배들의 무고로 구금되었으나, 곧 억울함이 밝혀져서 왕의 특명으로 석방되었고, 조정에서 팔도선교도총섭(八道禪敎都摠攝)의 승직을 내렸으나 사양하였다.
그뒤 일정한 거처 없이 은거하여 지내다가 말년에 묘향산으로 들어가서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진불암(眞佛庵)에서 나이 78세, 승랍 69세로 죽었으며, 임종 때 상서로운 빛이 수백리 밖에까지 뻗쳐서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알았다고 한다.
제자들이 화장하여 사리(舍利) 3과를 수습한 뒤 묘향산 보현사(普賢寺) 서쪽 기슭과 해남 대흥사(大興寺) 및 평양에 부도를 세우고 봉안하였다.
1716년 보현사에 비를 세웠고, 그뒤 대흥사에 비를 세웠다.
그는 청허파(淸虛派)의 전통적인 수도 순서에 따라 교(敎)에서 선(禪)으로 나아가 선을 참구하고, 또 교를 해득하여 화엄사상을 널리 천명한 화엄대종사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사람들에게 염불왕생을 많이 권장하였다. 전법제자(傳法弟子)로는 법명(法明)과 추붕(秋鵬)이 있으며, 문도는 수백명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월저당대사집(月渚堂大師集)』 2권 2책과 『불조종파도(佛祖宗派圖)』가 있다.
유보인(劉輔仁)의 아들로 9세에 출가하여 천신(天信)의 제자가 되었으며, 그뒤 금강산에 들어가서 의심(意諶)의 지도를 받으면서 휴정(休靜)의 밀전(密傳)을 연구하여 화엄학(華嚴學)과 삼교(三敎)에 두루 통하였다.
1664년(현종 5) 묘향산에 들어가서 『화엄경』의 대의를 강의하였는데 그때부터 사람들이 화엄종주(華嚴宗主)라고 불렀다. 『화엄경』을 강의할 때마다 항상 수백명의 청중이 참여하여 당시에 보기 드문 대법회가 되었다.
또한, 『화엄경』과 『법화경』 등의 대승경전과 『예념왕생문(禮念往生文)』 등의 염불관계서적 10여종을 인출하여 배포하였고, 『회연기(會緣起)』에 따라서 『화엄경』을 국역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한 스승 의심의 사업을 이어받아 국역작업을 완수하였다.
그가 어려움을 무릅쓰고 불전 간행에 힘을 기울인 것은 ‘척박한 마음의 땅을 개간하고 크나큰 원의 종자를 심어 지혜광명의 나무를 가꾸고자’ 한 때문이었다.
1697년(숙종 23)의 정축옥사 때는 명성을 시기한 소인배들의 무고로 구금되었으나, 곧 억울함이 밝혀져서 왕의 특명으로 석방되었고, 조정에서 팔도선교도총섭(八道禪敎都摠攝)의 승직을 내렸으나 사양하였다.
그뒤 일정한 거처 없이 은거하여 지내다가 말년에 묘향산으로 들어가서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진불암(眞佛庵)에서 나이 78세, 승랍 69세로 죽었으며, 임종 때 상서로운 빛이 수백리 밖에까지 뻗쳐서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알았다고 한다.
제자들이 화장하여 사리(舍利) 3과를 수습한 뒤 묘향산 보현사(普賢寺) 서쪽 기슭과 해남 대흥사(大興寺) 및 평양에 부도를 세우고 봉안하였다.
1716년 보현사에 비를 세웠고, 그뒤 대흥사에 비를 세웠다.
그는 청허파(淸虛派)의 전통적인 수도 순서에 따라 교(敎)에서 선(禪)으로 나아가 선을 참구하고, 또 교를 해득하여 화엄사상을 널리 천명한 화엄대종사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사람들에게 염불왕생을 많이 권장하였다. 전법제자(傳法弟子)로는 법명(法明)과 추붕(秋鵬)이 있으며, 문도는 수백명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월저당대사집(月渚堂大師集)』 2권 2책과 『불조종파도(佛祖宗派圖)』가 있다.
[참고문헌]
月渚堂大師集
東師列傳(覺岸)
大芚寺誌(草衣)
朝鮮佛敎通史(李能和, 新文館, 1918)
東師列傳(覺岸)
大芚寺誌(草衣)
朝鮮佛敎通史(李能和, 新文館, 1918)
[집필자]
김상현(金相鉉)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