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상현(朴尙玄)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C0C1D604B1629X0
자(字)경초(景初)
호(號)우헌(寓軒)
생년1629(인조 7)
졸년1693(숙종 19)
시대조선중기
본관순천(順天)
활동분야학자 > 유생
박수림(朴遂林)
봉산이씨(鳳山李氏)
외조부이부민(李傅敏)
저서『우헌집』

[상세내용]

박상현(朴尙玄)
1629년(인조 7)∼1693년(숙종 19).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경초(景初), 호는 우헌(寓軒). 박수림(朴遂林)의 아들이며, 모친은 봉산이씨(鳳山李氏)이부민(李傅敏)의 딸이다.

경전에 널리 통하였으며 특히 『대학』에 밝았다. 주희(朱熹)의 학문을 근본으로 삼고, 산수(山水) 사이의 고요함에 만족하였다. 명나라를 숭배하는 사상이 철저하여 병자‧정묘 호란이 끝난 뒤 책력(冊曆) 속의 청나라 연호를 모두 지워버렸다고 한다.

1667년(현종 8) 배를 타고 망명해온 명나라의 유민들을 조정에서 체포하여 청나라로 돌려보내자, 이를 개탄하는 시를 짓고 당세에의 뜻을 끊어버렸다.

그뒤 『태극도설(太極圖說)』『통서(通書)』『황극경세(皇極經世)』『역학계몽(易學啓蒙)』 등의 성리서를 깊이 연구하여 『음양소장도(陰陽消長圖)』를 저술하였다.

정이(程頤)주희(朱熹)이황(李滉)이이(李珥)를 높이 받들었으나,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만은 이황의 설을 버리고 이이의 설을 따랐으며, 예학은 김장생(金長生)을 따랐다.

뒤에 장령(掌令)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우헌집』이 있다.

[참고문헌]


[집필자]

조준하(趙駿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