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풍삼사(馮三仕)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48DC0BCC0ACB1607X0
자(字)유영(惟榮)
생년1607(선조 40)
졸년1672(현종 13)
시대조선중기
본관임구(臨朐)
활동분야귀화‧유민 > 귀화인
풍수(馮秀)
출생지산동성(山東省) 청주부(靑州府) 임구현(臨朐縣) 부정리(富亭里)
묘소남양주 진접읍 팔야리

[상세내용]

풍삼사(馮三仕)
1607년(선조 40)∼1672년(현종 13). 조선 중기의 유신(遺臣). 본관은 임구(臨朐). 자는 유영(惟榮).

부친은 명나라 병부시랑(兵部侍郞) 도찰원부도어사(都察院副都御史) 풍수(馮秀)이다.

중국 산동성(山東省) 청주부(靑州府) 임구현(臨朐縣) 부정리(富亭里)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천성이 공손하고 검소했으며 모든 일에 의리가 있었다. 그러나 중국에 있을 때 조정의 기강이 문란해지고 탐관오리가 횡행한 것을 보고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그 대신에 풍삼사는 고향에서 학문에 진력하였는데 그의 나이 30세가 되던 해인 1636년에 산동성 일대에 큰 흉년이 들자 전답 등의 가산을 정리하면서까지 양곡을 마련하여 빈민구제에 적극적이었다. 이로 말미암아 그 일대의 지방민들이 크게 감탄하여 명망이 자자하였다.

그의 나이 32세가 되던 1638년에는 청의 병사들이 산동성에 침입하였는데, 의병을 소집하여 덕주(德州)를 굳게 지키고 항전하니 적들이 더 이상 진격하지 못하였다. 이듬해에는 청병이 무성(武城)을 포위했다는 소식을 듣고 의병을 이끌고 구원하러 갔으나 이미 지현(知縣) 이승방(李承芳)이 전사하고 군사들이 흩어져 달아나고 있었다. 이 때 그는 의병들에게 황급히 돌진하라는 명을 내리고 선두에 서서 진격해 들어가니 청병들이 성을 버리고 달아났다. 청병을 물리친 후 성의 주위에 호를 파고 제방을 구축하여 남천(南川)의 물을 대어 해자를 완성하는 등 방어를 철저히 하였다.

또 다시 의병을 이끌고 서공기(徐公器)의 요청대로 구원을 하기 위하여 출병하였으나, 수십 배나 많은 청병에 밀려 결국은 적에게 생포되었다. 그 후 그는 심양관에 억류당해 있다가 1645년(인조 23)에 봉림대군(鳳林大君) 일행을 따라 왕미승(王美承)황공(黃功)정선갑(鄭先甲)양복길(楊福吉)배삼생(裵三生)왕문상(王文祥)왕이문(王以文)유계산(柳溪山) 등 황명구의사(皇明九義士)들과 더불어 조선으로 망명하였다.

봉림대군을 따라 조선으로 들어온 그는 조양루 남쪽에 살았는데, 봉림대군효종으로 즉위한 뒤에 부름을 받아 북벌계획에 자문을 하는 등 크게 활약하였다. 그러나 1659년에 효종이 승하하자 그는 두문불출하고 항상 수심으로 살았다. 1672년 세상을 하직하였는데, 임종 시에 가솔들에게 “이제 명 황실이 다시 흥함을 보지 못하고 외국에 와서 죽으니 대역 죄인이다. 내가 죽으면 상복으로 염습하고 현훈과 장삼을 쓰지 말라”라는 말을 유언으로 남겼다고 한다. 묘는 남양주 진접읍 팔야리에 있다.

[참고문헌]

日省錄
南楊州市誌

[집필자]

김영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