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시온(金是榲)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2DCC628B1598X0
자(字)이승(以承)
호(號)표은(瓢隱)
생년1598(선조 31)
졸년1669(현종 10)
시대조선중기
본관의성(義城)
활동분야학자 > 유생
김철(金澈)
조부김극일(金克一)
외조부김종무(金宗武)
저서『표은집』

[상세내용]

김시온(金是榲)
1598년(선조 31)∼1669년(현종 10). 조선 효종현종 때의 유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이승(以承), 호는 도연(陶淵)표은(瓢隱).

부친은 진사 김철(金澈)이며, 모친은 찰방 김종무(金宗武)의 딸이다. 김시온의 아버지 김철(金澈)은 큰아버지인 사성 김극일(金克一)에게 입양되었으므로 김극일김시온의 조부가 된다.

어려서부터 재행이 경상좌도에 이름났다. 일찍부터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았는데, 병자호란 이후에는 더욱 학문에만 힘썼다. 문장보다 경학의 연마에 정진하였으며, 예학(禮學)을 깊이 연구하여 예서의 편찬을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였다.

인근 수령과 관찰사가 문학기덕(文學耆德)으로 조정에 천거하였으며, 조정에서도 참봉직과 같은 관직을 제수하였으나, 끝내 응하지 않고 숭정처사(崇禎處士)라 자칭하였다.

1734년(영조 10) 증손 김성탁(金聖鐸)이 경연에 입시되면서, 절의가 알려져 사헌부 집의를 증직받았다.

문집으로 『표은집』이 전한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人物考
瓢隱集

[집필자]

장동익(張東翼)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