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천구(郭天衢)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CFDCC9CAD6CB1589X0 |
자(字) | 사형(士亨) |
호(號) | 구봉(九峰) |
생년 | 1589(선조 17) |
졸년 | 1670(현종 1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현풍(玄風)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곽현(郭玹) |

[관련정보]
[상세내용]
곽천구(郭天衢)
1589년(선조 17)∼1670년(현종 11).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사형(士亨), 호는 구봉(九峰).
부친은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곽현(郭玹)이고, 동생은 곽천행(郭天行)이다.
1615년(광해군 7) 을묘(乙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에 합격하였고, 다음 해인 1616년에는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에 급제하였다. 관직은 가주서(假注書), 봉상시봉사, 거산찰방(居山察訪), 평산부사(平山府使)를 역임하고, 군수(郡守)에 이르렀다.
그리고 사부(詞賦)에도 능하였으며, 시문집 『구봉유고』가 있다. 이 책은 증손인 곽성원(郭成遠)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이 중 시‧부‧의‧책(策)은 과제문(科題文)으로 「문양지양능(問良知良能)」은 『맹자』에 나오는 ‘양지양능’을 설명한 것으로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를 연결하여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을 전개하였다. 제문은 오억령(吳億齡), 홍섬(洪暹), 김명원(金命元) 등에 대하여 쓴 것이다.
부친은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곽현(郭玹)이고, 동생은 곽천행(郭天行)이다.
1615년(광해군 7) 을묘(乙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에 합격하였고, 다음 해인 1616년에는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에 급제하였다. 관직은 가주서(假注書), 봉상시봉사, 거산찰방(居山察訪), 평산부사(平山府使)를 역임하고, 군수(郡守)에 이르렀다.
그리고 사부(詞賦)에도 능하였으며, 시문집 『구봉유고』가 있다. 이 책은 증손인 곽성원(郭成遠)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이 중 시‧부‧의‧책(策)은 과제문(科題文)으로 「문양지양능(問良知良能)」은 『맹자』에 나오는 ‘양지양능’을 설명한 것으로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를 연결하여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을 전개하였다. 제문은 오억령(吳億齡), 홍섬(洪暹), 김명원(金命元) 등에 대하여 쓴 것이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國朝文科榜目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國朝文科榜目
[집필자]
성영애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