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인성군(仁城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8C131AD70B1588X0
이명(異名)이공(李珙)
호(號)백인당(百忍堂)
시호(諡號)효민(孝愍)
생년1588(선조 21)
졸년1628(인조 6)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종친
정빈 민씨(靜嬪閔氏)

[상세내용]

인성군(仁城君)
1588년(선조 21)∼1628년(인조 6). 조선 중기의 종실.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공(李珙). 호는 백인당(百忍堂).

선조의 일곱째아들이며, 모친은 정빈(靜嬪) 민씨(閔氏)이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선조가 특히 사랑하였으며 공부를 시작하자 학업이 일취월장하였다.

12세에 인성군으로 책봉되었으며, 장성하여서는 사옹원종부시도제조종친부의 유사(有司)를 겸직하였다. 공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관대하면서도 엄격하였으므로 관기를 바로잡을 수 있었다.

광해군의 시기하는 마음이 점점 더 커가는 것을 보고 이이첨(李爾瞻) 등이 사형수를 사주하여 무고하니, 대궐 문밖에 자리를 깔고 처분을 기다리기를 며칠씩 하다가 울분한 마음에 병이 들어 3년간이나 병석에서 일어나지 못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왕은 숙부의 예로써 대우하였으나,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고 그때 잡혀 들어온 자들이 모두 혐의를 뒤집어 씌웠으므로 왕도 할 수 없이 간성으로 귀양보내었다. 후에 원주로 옮겼다가 어머니 민씨의 병이 위독하므로 관대한 처분을 받고 돌아왔다.

그러나 1628년 유효립(柳孝立) 등이 대북파의 잔당을 규합하여 모반을 기도할 때에 왕으로 추대되었다 하여 다시 진도에 유배되었다가 자살을 강요받고 죽었다.

1637년에 복관되었다. 시호는 효민(孝愍)이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燃藜室記述
宗班行錄

[집필자]

이정일(李貞一)

봉호 : "인성군공(仁城君珙)"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仁嬪金氏出錄扈聖功臣○娶平山申氏判尹砬女生一女有繼子順和君順嬪金氏出○娶長水黃氏承旨赫女生一女有繼子仁城君珙靜嬪閔氏出○仁祖戊辰罪死後伸雪諡孝愍○娶海平尹氏判書肅簡公承吉女生五男二女義昌君珖儲慶宮敬惠裕德仁嬪
國朝編年v18容康文翼敎官金翬四山監役尹衡俊梁弘元悰參判鄭潔內需司書題鄭夢弼等三百四十七人宗室茂林君善胤順寧君景儉仁城君珙興安君瑅慶完君玏慶昌君珘等二十五人朴承宗柳希奮託辭引嫌不爲明言其餘皆推諉不言自是以後朝士外儒生坊民樂
國朝編年v18三人削黜領議政韓孝純右議政閔夢龍府院君金信元判書許筬大司憲崔有源尹孝全贊成李沖等十四人追奪右議政趙挺仁城君珙監司李溟等十二人削奪領議政朴承宗其子京畿監司自興十三日竝自殺○大妃殿備忘記逆魁暴琿至今在闕中天地間一
國朝人物志v2金氏生義安君珹信城君珝義昌君玧元宗大王順嬪金氏生順和君靜嬪閔氏生仁城君珙仁興君瑛貞嬪洪氏生慶昌君珘溫嬪韓氏生興安君瑅慶平君玏寧城君㻑
國朝人物志v2初封興安君宣祖別子靜嬪韓氏出也甲子李适擧兵叛其意在仁城君珙而珙從仁祖駕幸南下故不得已立瑅瑅不扈從逃俟投适僭以王號以忠吉爲大將以衛之及
國朝人物志v3外遷鐵原府使甲子聞适變與諸同志謀勤王灑泣誓衆募兵千餘號義勝軍聞官軍破賊車駕還都卽罷兵先是仁城君珙出逆招上命勿問李貴疏斥兩司之不言埈與鄭經世以爲不可貴盛氣待之埈徐曰不去此疑字雖重城
國朝人物志v3朴東說稱其騈儷可入蘇長公堂又有政事才事仁祖幾三十年事孝宗七年受知受恩亦不淺乙丑仁城君珙罹禍碩力言全恩人物考
國朝人物志v3字信叔號泛齋又曰嘉隱靑松人岱子癸丑年二十八進士仁祖癸酉登第歷舍人應敎仁城君珙旣賜死其三子竄海島上特寬釋之兩司爭論不已大字曰此盛德事也旣不能開導於前又不能將順於後非所
國朝人物志v3字明叔宗室密昌君樴子宣祖別子仁城君珙玄孫癸卯進士丙辰文科兵曹判書諡靖簡國朝榜目公善爲滑諧夫人安氏嘗從長子聖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