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익한(洪翼漢)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C775D55CB1586X0
이명(異名)습()
자(字)백승(伯升)
호(號)운옹(雲翁)
시호(諡號)충정(忠正)
생년1586(선조 19)
졸년1637(인조 15)
시대조선중기
본관남양(南陽[唐])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대성(洪大成)
생부홍이성(洪以成)
5대조홍숙(洪淑)
저서『화포집(花浦集)』
저서『북행록(北行錄)』
저서『서정록(西征錄)』

[상세내용]

홍익한(洪翼漢)
1586년(선조 19)∼1637년(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唐]). 초명은 습(霫).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포(花浦)운옹(雲翁).

찬성 홍숙(洪淑)의 현손으로, 진사 홍이성(洪以成)의 아들이고, 모친은 김림(金琳)의 딸이며, 백부인 교위(校尉) 홍대성(洪大成)에게 입양되었다. 이정귀(李廷龜)의 문인다.

1615년(광해군 7) 생원이 되고, 1624년(인조 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사서(司書)를 거쳐, 1635년 장령이 되었다.

1636년 청나라조선을 속국시하는 모욕적인 조건을 내걸고 사신을 보내오자, 상소하여 제호(帝號)를 참칭한 죄를 문책하고 그 사신들을 죽임으로써 모욕을 씻자고 주장하였다.

마침내 이해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최명길(崔鳴吉) 등의 화의론(和議論)을 극구 반대하였는데, 이 난으로 그의 두 아들과 사위가 모두 적의 칼에 죽었고, 아내와 며느리는 적에게 붙들렸으나 몸을 깨끗이 보전하고자 자결하였으며, 늙은 어머니와 딸 하나만이 살아 남았다.

이듬해 화의가 성립되자 조정의 권유로 청군(淸軍)의 화를 피하기 위하여 평양부서윤으로 나갔으나, 청나라의 강요로 화친을 배척한 사람의 우두머리로 지목되어 오달제(吳達濟)윤집(尹集)과 함께 청나라로 잡혀갔으며, 그곳에 붙들려 갔어도 청장 용골대(龍骨大)에게 “작년 봄에 네가 우리나라에 왔을 때 소를 올려 너의 머리를 베자고 청한 것은 나 한 사람뿐이다.” 하였고, 갖은 협박과 유혹에도 끝내 굽히지 않고 죽음을 당하였다. 이른바 ‘병자 삼학사’의 한 사람이다.

광주(廣州)현절사(顯節祠), 강화충렬사(忠烈祠), 평택포의사(褒義祠), 홍산창렬서원(彰烈書院), 부안도동서원(道東書院), 영천장암서원(壯巖書院), 고령운천서원(雲川書院), 평양서산서원(西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화포집(花浦集)』『북행록(北行錄)』『서정록(西征錄)』이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宋子大全
明陪臣考
丙子日錄
逸史奇聞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77)

[집필자]

이원근(李元根)

명 : "익한(翼漢)"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9翼漢
南漢解圍錄v1不敢聞天子詔淸帝怒令我國罪之朝廷乃降慶業 資流琳白馬城却說淸人執吳尹西行至平壤執洪翼漢 歸瀋陽淸帝使翼漢 拜翼漢 不屈帝讓曰量汝竪儒怎敢斥和以誤乃國耶洪索紙筆淸帝命給之乃援筆大書曰朝鮮纍臣洪翼漢 斥和事意
南漢解圍錄v1子詔淸帝怒令我國罪之朝廷乃降慶業 資流琳白馬城却說淸人執吳尹西行至平壤執洪翼漢 歸瀋陽淸帝使翼漢 拜翼漢 不屈帝讓曰量汝竪儒怎敢斥和以誤乃國耶洪索紙筆淸帝命給之乃援筆大書曰朝鮮纍臣洪翼漢 斥和事意不難具陳
靑野만集v10洪翼漢時爲平壤庶尹賊之回軍時我國定差使員甑山縣令曺大中押送虜營大中束縛困辱使不得飮食翼漢哀乞解縛而不聽到通遠堡胡人等問遠來之由出食厚饋此雖犬羊猶勝於我國之大中也二月二十五日到瀋陽汗令禮部設
國朝人物志v1癸巳權奸起唐城尉之獄也被謫自責無幾微見於言面其卒也語子侄曰死生有命固不足恨人物考曾孫翼漢字澤遠世稱洪學士
國朝人物志v3伯升號花浦初名霫子澤遠南陽人吏曹參議叔疇曾孫父進士以成娶安東金琳女生翼漢伯父大成取以爲子生母金氏卒於染厲家人不欲入哭翼漢曰豈忍計我生死遂入而哭擗絶而復蘇受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