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근(柳永謹)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0C601ADFCB1550X0 |
자(字) | 근지(謹之) |
호(號) | 죽경(竹扃) |
생년 | 1550(명종 5)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유정(柳珽) |

[관련정보]
[상세내용]
유영근(柳永謹)
1550년(명종 5)∼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근지(謹之), 호는 죽비(竹扉) 또는 죽경(竹扃). 유정(柳珽)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이다.
1582년(선조 15)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589년 태학생(太學生)으로 유생들과 함께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 등 오현(五賢)을 문묘에 종향하도록 건의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1601년 늦은 나이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정언‧전적 등을 지냈다.
1604년 장령‧필선을 거쳐, 이듬해 보덕‧사간을 지냈다.
1606년에 수찬‧부교리를 거쳐, 1607년에 사성 등을 지냈다.
1582년(선조 15)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589년 태학생(太學生)으로 유생들과 함께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 등 오현(五賢)을 문묘에 종향하도록 건의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1601년 늦은 나이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정언‧전적 등을 지냈다.
1604년 장령‧필선을 거쳐, 이듬해 보덕‧사간을 지냈다.
1606년에 수찬‧부교리를 거쳐, 1607년에 사성 등을 지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김용국(金龍國)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