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경우(權慶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D8CACBDC6B0B1547X0
자(字)신지(申之)
생년1547(명종 2)
졸년1616(광해군 8)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상세내용]

권경우(權慶祐)
1547년(명종 2)∼1616년(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신지(申之).

1585년(선조 18)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언헌납장령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 남원에서 적세(敵勢)를 잘못 상계(上啓)하여 물러나서 의론(議論)을 기다렸다.

장령으로 복직된 후에는 영의정 윤두수(尹斗壽)가 성격이 흉활(兇猾)하여 화심(禍心)을 품고, 이권(利權)을 좋아하여 사림에 죄를 얻고 청의(淸議)에 버림받은 지 오래되었으며, 유성룡(柳成龍)이 화의를 주장하여 나라를 그릇되게 한 죄를 범하였다고 탄핵하였다.

그리고 매관납속(賣官納粟)의 병폐를 시정하도록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장령으로서 시강원(侍講院)에 입직하였으나 병이 심하여 오래 있지 못하였다.

1616년에 통정대부(通政大夫)로서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배를 타고 명나라로 가던 도중에 노환으로 죽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집필자]

주웅영(朱雄英)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