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원(趙瑗)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70C6D0FFFFB1544X0
자(字)백옥(伯玉)
호(號)운강(雲江)
생년1544(중종 39)
졸년1595(선조 28)
시대조선중기
본관임천(林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응관(趙應寬)
생부조응공(趙應恭)
조부조익(趙翊)
처부이준민(李俊民)
저서『독서강의(讀書講疑)』

[상세내용]

조원(趙瑗)
1544년(중종 39)∼1595년(선조 2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백옥(伯玉), 호는 운강(雲江). 조익(趙翊)의 손자로, 조응공(趙應恭)의 아들이며, 조응관(趙應寬)에게 입양되었다. 판서 이준민(李俊民)의 사위이다.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1564년(명종 19) 진사시에 장원급제하였고, 1572년(선조 5)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75년 정언이 되어 이해 당쟁이 시작되자, 그에 대한 탕평의 계책을 상소하여 당파의 수뇌를 파직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이듬해 이조좌랑이 되고, 1583년 삼척부사로 나갔다가 1593년 승지에 이르렀다.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또 자손의 교육도 단엄(端嚴)하였다.

저서로는 『독서강의(讀書講疑)』가 있으며, 유고로는 『가림세고(嘉林世稿)』가 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榜目
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
增補文獻備考

[집필자]

이동길(李東吉)
대표명조원(趙瑗)
원(瑗)
성명조원(趙瑗)
백옥(伯玉)
운강(雲江)

명 : "원(瑗)"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乘總v5鄭澈知與孝元不相悅論以公論瑗乃擧事
震乘總v5鄭澈知瑗與孝元不相悅論以公論乃擧事
震乘總v5扙之律所以施庶官不可施之大臣諫院請推大臣非也同僚有失而臣與相容亦非也請遞兩司皆引避請遞獨大憲金繼輝與同因論許曄以屍親切族至於請推大臣云云鄭澈知瑗與孝元不相悅論以公論瑗乃擧事弘文館當處置珥曰諫院之啓旣非
大東彙纂v14宣祖朝持平洪可臣與吏曹佐郞趙瑗爲少年友而多有循私之失可臣先謂瑗曰事公則不顧私君多所失我不可循情不劾乃駁瑗遞職公論稱快栗谷日記
大東彙纂v14宣祖朝持平洪可臣與吏曹佐郞趙瑗爲少年友而瑗多有循私之失可臣先謂曰事公則不顧私君多所失我不可循情不劾乃駁瑗遞職公論稱快栗谷日記
大東彙纂v14朝持平洪可臣與吏曹佐郞趙瑗爲少年友而瑗多有循私之失可臣先謂瑗曰事公則不顧私君多所失我不可循情不劾乃駁遞職公論稱快栗谷日記
大東彙纂v24啓請推考正言趙瑗啓曰推考者照以笞杖之律乃所以督察庶官也不可以是施之大臣諫院之請推大臣非也遂引避其時與所見同者獨大司憲金繼輝其餘臺諫皆以爲請推大臣未見其不可東西之黨由此岐貳栗谷日記
大事編年v6才名往謁閔純極言東人偏黨之非西人至公無私之意純良久答曰東西是非吾不知也試觀公之今日設施合於公道與否耶慙而退
大事編年v6可臣劾遞吏郞趙瑗瑗輕躁非人望故可臣先謂瑗曰事公則不顧私君多所失我不可循情乃駁遞公論稱快而可臣則東人而則西人造者多言上謂東西不協故攻擊鄭澈輩亦不能平○趙瑗早有才名往謁閔純極言東人偏黨之非西人至公無私之意
大事編年v6戊寅十一年五月時沈金分邊之說益盛朝紳苟非特立獨行及碌碌無名者則皆入東西指目之中持平洪可臣劾遞吏郞趙瑗輕躁非人望故可臣先謂瑗曰事公則不顧私君多所失我不可循情乃駁遞公論稱快而可臣則東人而瑗則西人造者多言上
國朝人物志v2字怡叔號竹陰林川人承旨子宣祖辛丑進士壯元壬寅文科戊申重試禮曹參判光海己酉明使熊化來希逸與西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