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우(李瑀)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6B0FFFFB1542X0
이명(異名)이위(李瑋)
이명(異名)이후(李珝)
자(字)계헌(季獻)
호(號)죽와(竹窩)
호(號)기와(寄窩)
생년1542(중종 37)
졸년1609(광해군 1)
시대조선중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예술‧체육 > 서화가
이원수(李元秀)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우(李瑀)
1542년(중종 37)∼1609년(광해군 1). 조선 중기의 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 이름은 위(瑋) 또는 후(珝). 자는 계헌(季獻), 호는 옥산(玉山)죽와(竹窩)기와(寄窩). 이원수(李元秀)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동생으로, 모친은 사임당(師任堂) 신씨(申氏)이다.

1567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비안현감괴산고부군수를 거쳐 군자감정에 이르렀다.

시(詩)‧서(書)‧화(畵)‧금(琴)을 다 잘하여 4절(四絶)이라 불렸다. 그림은 초충(草蟲)‧사군자‧포도 등을 다 잘 그렸는데, 어머니의 화풍을 따랐다.

아들 이경절(李景節)도 가법(家法)을 이어 서‧화‧금에 능하여 3절이라는 말을 들었다. 그가 초충을 그려 길에 던지면 닭이 와서 쪼았다는 일화가 있을 만큼 화훼초충(花卉草蟲)을 잘 그렸다고 한다.

묵매화(墨梅畵)는 주로 횡관식구도(橫貫式構圖)로 힘차게 묘사하였다. 유작으로는 「설중매죽도(雪中梅竹圖)」(개인 소장)‧「노매도(老梅圖)」‧「수과초충도(水瓜草蟲圖)」(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포도도(葡萄圖)」 등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槿域書畵徵
韓國繪畵大觀(劉復烈, 文敎院, 1969)

[집필자]

허영환(許英桓)

성명 : "이우(李瑀)"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6倫者嘗出入無節云陰崖雜記○銓曹注擬三望或抽籤落批物情大沮陰崖雜記○二月命追削反正日入直承旨尹璋曺繼衡李瑀等功券蓋靖國功臣皆以姻婭請囑參錄者多故權鈞高臥門外姜渾韓珣詣闕被拘軍門皆錄勳而特此尹璋等三人見廢主窮
紀年便攷v16李瑀
紀年便攷v16李瑀珥弟中宗壬寅生字季獻號玉山又竹窩甞居善山善山称以四絶謂其琴書詩畵也於胡麻子書作龜字劈豆為両片書五言絶
小華龜鑑v5私淑齋希孟曾孫舍人吳健號德溪南冥門人舍人山陰院朴漑號煙波釣徒思菴淳兄不事擧業起亭江上輕舠往來晩仕郡守李瑀號玉山栗谷弟黃耆老壻蔭正書畫詩琴四絶權應仁號松溪梁子徵號鼓岩山甫子逸縣監尤狀李義健號峒隱明雜堂玄孫親
文獻攷略v4茂洞鄕賢祠壬午建田佐命號性菴佐郞贈右相李瑀號玉山栗谷弟軍資正田胤武號檟亭縣監
文獻攷略v15○思任堂申氏女栗谷李珥母也工葡萄草蟲李瑀號玉山珥之兄也善詩書畫兼工彈琴
東國續修文獻錄v1然大憲成守琛聽松昌寧人李濟臣淸江全義人蜀宋寅明仲頤庵治禮學文靖蜀成渾見儒林金魯景參東皐希壽子直學蜀李瑀季獻玉山善畫琴栗谷弟金麟厚見湖堂李忠元松菴蜀李滉見儒林李山海見相蜀李文楗卞巚楊士彥應聘蓬萊李海龍寫
國朝人物志v2省金浦先壟操文祭告以將亂永辭之意四月倭果渡海不數日踰鳥嶺大駕西幸憲痛哭往淸州與李瑀金敬伯等謀擧義兵乃還沃川與門人募鄕兵遮報恩車嶺賊不敢由是路而西倭據淸州防禦使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