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정(李霆)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815FFFFB1541X0
자(字)중섭(仲燮)
호(號)탄은(灘隱)
생년1554(명종 9)
졸년1626(인조 4)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학 > 문인
이지(李枝)

[상세내용]

이정(李霆)
1554년(명종 9)∼1626년(인조 4)(주1)
생졸년
『灘隱 李霆(1554-1626)의 繪畵硏究:墨竹畵를 中心으로』(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를 참고하여 생졸년을 "1541(중종 36) ~ 1622(광해군 14)"에서 "1554(명종 9) ~ 1626(인조 4)"로 수정함
. 조선 중기의 문인화가. 자는 중섭(仲燮), 호는 탄은(灘隱).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의 현손으로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이다.

석양정(石陽正: 正이란 이조 때 비교적 가까운 왕손에게 준 작호로 정3품 堂下에 해당함.)에 봉해졌으며, 뒤에 석양군(石陽君)으로 승격되었다.

묵죽화에 있어서 그는 유덕장(柳德章)신위(申緯)와 함께 조선시대 3대화가로 꼽힌다. 또한, 그는 묵죽화뿐 아니라 묵란‧묵매에도 조예가 깊었고, 시와 글씨에도 뛰어났다.

그는 임진왜란 때 적의 칼에 오른팔을 크게 다쳤으나 이를 극복하고, 회복 후에는 더욱 힘찬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지금 남아 있는 조선 초기의 묵죽화들이 대개 수문(秀文)의 묵죽화와 같이 줄기가 가늘고 잎이 큰 특징을 보임에 반하여, 그의 묵죽은 줄기와 잎의 비례가 좀더 보기 좋게 어울리며, 대나무의 특징인 강인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는 특히 굵은 통죽(筒竹)을 잘 그렸는데, 통죽의 굵은 입체감을 두드러지게 표현하였다.

즉, 통죽의 마디를 묘사함에 있어서 양쪽 끝이 두툼하게 강조된 호형선(弧形線)으로 마디의 하단부를 두르고, 거기에서 약간의 간격을 떼고 아랫마디를 짙은 먹으로 시작해서 점차로 흐려지게 하였다.

이 기법은 조선 후기의 여러 묵죽화가들에 의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다. 그는 「풍죽도」에서 대나무의 줄기와 잎이 바람에 나부끼는 모습을 정확하게 포착하여 대나무의 탄성(彈性)을 잘 나타내었다. 화면의 공간감(空間感)을 살리기 위해 짙은 먹과 흐린 먹의 구별이 뚜렷한 대나무들을 대조시켰다.

한편, 그는 묵죽화 또는 묵란화에서 토파(土坡)를 묘사함에 있어서는 당시의 산수화의 주류인 절파화풍(浙派畵風)의 영향을 받아 강한 농담(濃淡)의 대조를 많이 사용하였다.

같은 시대의 최립(崔岦)허균(許筠)은 그의 묵죽화의 자연스러움과 사실성을 칭찬하였으며, 이정귀(李廷龜)는 “소동파(蘇東坡)의 신기(神氣)와 문동(文同)의 사실성을 모두 갖추었다.”고 하였다. 그가 접할 수 있었던 중국의 묵죽화는 송대(宋代)의 것보다 명대(明代)의 것이었을 가능성이 더 많다.

따라서, 그는 소동파나 문동의 묵죽양식도 하창(夏昶)이나 또는 그뒤를 따른 주단(朱端) 등의 명대 화가들에 의하여 변형된 것을 받아들였을 것이다.

그의 작품들은 강한 필력과 잘 잡힌 구도를 보이며, 조선 묵죽화의 최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기년작(記年作)으로는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소장인 검은 비단 바탕에 금니(金泥)로 그린 「죽도(竹圖)」가 만력갑오(萬曆甲午), 즉 1594년에 해당하여 연대가 가장 이른 작품이다.

그의 만년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우죽도(雨竹圖)」가 있으며, 여기에 천계임술(天啓壬戌), 즉 1622년의 연대가 적혀 있다. 이밖에도 낙관이 있는 묵죽화는 많이 전한다.

그가 인물화를 그렸다는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그의 작품으로 전하는 「문월도(問月圖)」 두 폭이 개인소장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두 그림은 모두 절파양식을 강하게 보이는 인물화이다.

[참고문헌]

簡易堂集
月沙集
燃藜室記述 別集
揀竹
槿域書畵徵
韓國書畵人名辭書(金榮胤, 漢陽文化社, 1959)
灘隱問月圖(全鎣弼, 考古美術 7, 1961. 2.)
灘隱問月圖(崔淳雨, 考古美術 29, 1962. 12.)
韓國繪畵大觀(劉複烈, 文敎院, 1969)
韓國繪畵史(安輝濬, 一志社, 1980)

[집필자]

이성미(李成美)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7-26왕족인 점을 참고하여 본관을 전주로 함.
2012-02-08『灘隱 李霆(1554-1626)의 繪畵硏究:墨竹畵를 中心으로』(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를 참고하여 생졸년을 "1541(중종 36) ~ 1622(광해군 14)"에서 "1554(명종 9) ~ 1626(인조 4)"로 수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