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원호(元昊)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6D0D638FFFFU9999X0
자(字)자허(子虛)
호(號)무항(霧巷)
시호(諡號)정간(貞簡)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전기
본관원주(原州)
활동분야충효열 > 절신
원헌(元憲)
출신지원주

[상세내용]

원호(元昊)
생졸년 미상. 단종 때 생육신의 한 사람.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허(子虛), 호는 관란(觀瀾)무항(霧巷). 원주 출신. 별장 원헌(元憲)의 아들이다.

1423년(세종 5)에 문과에 급제, 여러 청관현직(淸官顯職)을 차례로 지내어 문종집현전직제학에 이르렀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황보 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의 대신을 죽이고 정권을 잡게 되자, 그는 병을 핑계로 향리 원주로 돌아가 은거하였다.

1457년(세조 3)에 단종이 영월에 유배되자, 영월 서쪽에 집을 지어 이름을 관란재(觀瀾齋)라 하고 강가에 나가서 시가를 읊기도 하고 혹은 집에서 글을 짓기도 하면서 아침 저녁으로 멀리서 영월 쪽을 바라보고 눈물을 흘리며 임금을 사모하였다.

단종이 죽자 삼년상을 입었고, 삼년상을 마친 뒤 고향인 원주에 돌아와 문 밖을 나가지 않으니 다른 사람들은 그의 얼굴을 볼 수가 없었다.

조카인 판서 원효연(元孝然)이 수행하는 종들을 물리치고 문 밖에 와서 보기를 청하였으나 끝내 거절하였다.

세조가 특별히 호조참의에 제수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다. 그는 앉을 때는 반드시 동쪽을 향하여 앉고, 누울 때는 반드시 동쪽으로 머리를 두었는데 그 이유는 단종의 장릉(莊陵)이 자기 집의 동쪽에 있기 때문이었다. 그는 한평생 단종을 그리다가 죽었다.

손자인 원숙강(元叔康)이 사관이 되어 직필로 화를 당하자, 자기의 저술과 소장(疏章)을 모두 꺼내어 불태우고는, 여러 아들에게 다시는 글을 읽어 세상의 명리를 구하지 말라고 경계하였다. 이 때문에 집안에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고 경력과 행적도 전하는 것이 없다.

1699년(숙종 25) 판부사(判府事) 최석정(崔錫鼎)의 건의에 의하여 고향에 정려가 세워지고, 1703년 원천석(元天錫)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1782년(정조 6) 김시습(金時習)남효온(南孝溫)성담수(成聃壽)와 함께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함안서산서원(西山書院), 원주칠봉서원(七峰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英祖實錄
正祖實錄
燃藜室記述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재호(李載浩)
대표명원호(元昊)
호(昊)
성명원호(元昊)
시호정간(貞簡)
자허(子虛)
관란(觀瀾), 무항(霧巷)

자 : "자허(子虛)"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靑野만集v2共作楚囚悲心驚興廢肝腸裂憤切忠邪涕淚垂栗里淸風元亮老首陽寒月伯夷飢一篇野史堪傳後千載應爲善惡師吟訖屬子虛子虛乃慷慨悲吟曰往事憑誰問荒山土一邱恨深精衛死魂斷社䳌愁故國何時返江樓此曰遊悲涼謌數關殘月荻花秋吟斷
靑野만集v2斗闌干生全忠孝死作毅魄襟懷何似一輪江月嗟不可與慮始兮腐儒仰責歌未闋月黑雲愁雨泣風噫疾雷一聲皆倐然而散子虛亦驚悟乃亦一夢也林悌所記
靑野만集v2元昊字子虛號觀瀾或霧巷慷慨士也仲秋之夕倚榻而睡身忽輕擧縹緲悠楊止一江岸則長流逶迤群山糾紛時夜將半萬籟俱寂月色如
靑野만集v2堂堂神彩楊楊胸藏叩馬蹈海之志腹蘊擎天捧日之忠眞可謂托六尺之孤寄百里之命者也子虛入謁王前反走而跪於末席子虛之上卽幅巾者也其上則五人相次靈矣子虛莫測甚不自安王曰夙聞蘭香解后良宵母相訝也子虛乃避席而謝坐已定相與
靑野만集v2謁王前反走而跪於末席子虛之上卽幅巾者也其上則五人相次靈矣子虛莫測甚不自安王曰夙聞蘭香解后良宵母相訝也子虛乃避席而謝坐已定相與論古今興亡幅巾者唏噫而言曰堯神湯武古今之罪人也後世之孤媚取禪者籍爲以臣代君者名焉
靑野만集v2捧日之忠眞可謂托六尺之孤寄百里之命者也子虛入謁王前反走而跪於末席子虛之上卽幅巾者也其上則五人相次靈矣子虛莫測甚不自安王曰夙聞蘭香解后良宵母相訝也子虛乃避席而謝坐已定相與論古今興亡幅巾者唏噫而言曰堯神湯武古
靑野만集v2跫音自遠而近有頃蘆花深處閑出一箇好男兒幅巾野服神淸眉秀澟澟乎有首陽之遺風來揖于前曰子虛來何遲吾王奉邀子虛疑其爲山精水魅愕然無以應然其形貌俊邁擧正閑雅不覺暗暗稱奇乃肩隨而廳百餘步許有亭突兀臨江上有一人憑襴而
靑野만集v2遊徘徊顧眄之除忽聞跫音自遠而近有頃蘆花深處閑出一箇好男兒幅巾野服神淸眉秀澟澟乎有首陽之遺風來揖于前曰子虛來何遲吾王奉邀子虛疑其爲山精水魅愕然無以應然其形貌俊邁擧正閑雅不覺暗暗稱奇乃肩隨而廳百餘步許有亭突兀
靑野만集v2楚囚悲心驚興廢肝腸裂憤切忠邪涕淚垂栗里淸風元亮老首陽寒月伯夷飢一篇野史堪傳後千載應爲善惡師吟訖屬子虛子虛乃慷慨悲吟曰往事憑誰問荒山土一邱恨深精衛死魂斷社䳌愁故國何時返江樓此曰遊悲涼謌數關殘月荻花秋吟斷滿座
靑野만集v2五人覩疑是都是間世人傑像貌堂堂神彩楊楊胸藏叩馬蹈海之志腹蘊擎天捧日之忠眞可謂托六尺之孤寄百里之命者也子虛入謁王前反走而跪於末席子虛之上卽幅巾者也其上則五人相次靈矣子虛莫測甚不自安王曰夙聞蘭香解后良宵母相訝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