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응남(朴應男)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C751B0A8B1527X0
자(字)유중(柔仲)
호(號)퇴암(退庵)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527(중종 22)
졸년1572(선조 5)
시대조선전기
본관반남(潘南)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소(朴紹)

[상세내용]

박응남(朴應男)
1527년(중종 22)∼1572년(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유중(柔仲), 호는 남일(南逸) 또는 퇴암(退庵). 사간 박소(朴紹)의 아들이다.

8살에 어머니를 따라 서울에 와서 유조인(柳祖訒)에게 배웠고, 뒤에 성제원(成悌元)이중호(李仲虎)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53년(명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수찬과 육조의 참의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대사헌으로 있을 때 국정을 전단하던 이량(李樑)의 죄를 탄핵하다가 귀양갔으나 왕이 특별히 용서하여 풀려났다.

명종이 임종할 때 좌승지로 금중(禁中)에서 숙직하다 영의정 이준경(李浚慶)과 함께 고명을 받아 선조가 왕위를 계승하는 데 공을 세웠다. 심의겸(沈義謙)과 친교가 두터워 조카딸(應順의 딸)을 선조비로 책봉하도록 하였으며, 궁중의 복색을 화사하고 선명한 것으로 바꾸도록 하였다.

이이(李珥)『석담일기(石潭日記)』에서 “고지식하며 말을 과감히 하고 겉으로는 시비를 분별하지 못하는듯하나 속으로는 시비를 판단하는 기준이 있었다.”고 평하였다.

성품이 강직하였기 때문에 대사헌 재임중 기탄 없는 논박을 하여 원망하는 사람이 많았다.

또 왕비의 숙부였으므로 왕의 총애를 받으니 사림(士林)의 큰 힘이 되었고, 그가 죽자 사류(士類)들이 애석하게 여겼으며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홍종필(洪鍾佖)

시호 : "문정(文貞)"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3察人事先見甚明於色溪然蜼西子在前猶無意語其器則朱絃而大羮語其氣則烈日而秋霜宣祖壬申卒年四十六贈吏判謚文貞兄弟文科弟應福兵参玄孫泰定以經歴世基子爲族叔僉知世冕后尙昭顯世子二女慶寧郡主封錦昌副尉謚敬憲孫師洙見
震乘總v4於窓壁間曰吾家有此兩箇字比如天之有日月洞萬古而不易讀書記其要語名曰學記卒年七十二命賜祭賻粟贈大司諫謚文貞退溪評南冥李退溪曰南冥吾與神交久矣南州高士獨數此一人但念高尙之士例多好奇自用好奇則不遵常軌自用則不聽
寒臯觀外史v18應順羅州人冶川文康公紹之子也官領敦潘城府院君謚靖懿應男字柔仲号艮齋官大憲謚文貞
寒臯觀外史v33淳字和叔號思庵忠州人官領相謚文忠應男字柔仲潘南人官大憲謚文貞
寒臯觀外史v35州人官領相謚忠正配享宣祖庙庭○淳字和叔号思菴忠州人官領相謚文忠應男字柔仲号艮齋一号南逸潘南人官大憲謚文貞○退溪李先生名滉字景浩真宝人官判樞謚文純配享宣祖庙庭從祀文庙
國朝人物志v2批曰允之時論歎賞天性勁直持心峻潔平生於色淡然嘗曰我則雖西施在前猶無意也官至大司憲諡文貞東儒師友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