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지함(李之菡)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9C0D568B1517X0
자(字)형중(馨仲)
호(號)수산(水山)
호(號)토정(土亭)
시호(諡號)문강(文康)
생년1517(중종 12)
졸년1578(선조 11)
시대조선전기
본관한산(韓山)
활동분야학자 > 유생
이치(李穉)
저서『토정비결』
저서『농아집(聾啞集)』

[상세내용]

이지함(李之菡)
1517년(중종 12)∼1578년(선조 11). 조선 중기의 학자‧기인(奇人), 『토정비결(土亭祕訣)』의 저자.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형백(馨伯) 또는 형중(馨仲), 호는 수산(水山) 또는 토정(土亭). 이색(李穡)의 후손으로, 현령 이치(李穉)의 아들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맏형인 이지번(李之蕃)밑에서 글을 배우다가 뒤에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 들어가 그에게 커다란 영향을 받게 되었다. 후일에 그가 수리(數理)‧의학‧복서(卜筮)‧천문‧지리‧음양‧술서(術書) 등에 달통하게 된 것도 서경덕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1573년(선조 6) 주민의 추천으로 조정에 천거되어 청하(淸河: 지금의 포천)현감이 되었고, 재직중 임진강의 범람을 미리 알아서 많은 생명을 구제한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이듬해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갔으나 1578년 아산현감으로 다시 등용되었고, 부임한 즉시 걸인청(乞人廳)을 만들어 일정한 정착지가 없는 걸인들을 구제하였으며, 노약자와 기인(飢人)을 구호하였다.

생애의 대부분을 마포 강변의 흙담 움막집에서 청빈하게 지냈으며, 그 때문에 ‘토정’이라는 호가 붙게 되었다. 토정이 의학과 복서에 밝다는 소문이 점차 퍼지게 되자 그를 찾아오는 사람의 숫자가 많아지고 일년의 신수를 보아달라는 요구가 심하여짐에 따라 책을 지었는데, 그것이 『토정비결』이라고 알려져 있다.

전국의 산천을 두루 다니며 명당과 길지를 점지하였으며, 『농아집(聾啞集)』을 저술하여 어진 자에게 전하여 난을 구제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당대 성리학의 대가 조식(曺植)이 마포로 찾아와 그를 도연명(陶淵明)에 비유하였다는 이야기도 유명하다.

죽은 뒤 아산인산서원(仁山書院)에 제향되었고, 이어서 보령화암서원(華巖書院)에도 제향되었다.

1713년(숙종 39) 학덕이 인정되어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참고문헌]

東方名人傳
토정비결은 무엇인가(金重洵, 世一社, 1982)

[집필자]

권오호(權五虎)

호 : "토정(土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捷錄v01字汝受號鵝溪韓山人再參勳己丑拜領之蕃子土亭侄嗾仁弘陷永慶爲洪汝淳李憲國所攻己亥生
國朝人物志v2名世裂衣書疏言自古無殺史官之時陳復昌參鞫却不受朝野輯要名世載車而出市人皆哭土亭李之菡握手相訣於道裂裳裏足而遁東閣雜記
國朝人物志v2聖賢師歎賞知其非凡兒也十歲母病垂絶起斷指和藥以進母復蘇稍長力學百家衆技無不涉獵年二十餘過土亭李之菡始知吾道之正盡棄其學而從之與土亭周游四方登漢挐山而還土亭令就學于
國朝人物志v2行俱備起授六品禮遇之隆比三公有加竟不入對後屢徵不起年八十一卒無子大東韻玉所友南冥花潭土亭皆遠至爲對床連夜語李相國浚慶聞之曰應有德星見於天矣牛溪集墓碣官至司贍寺正贈左承
國朝人物志v2字馨仲號土亭韓山人季甸五世孫少孤從其兄之蕃學及長壻毛山守星琅醮之翌日出而暮返家人覺其綈袍
國朝人物志v2晉州人號東山翁性至孝隱居不售於世平生恥匿過而爲名善與人循俗人莫以爲奇土亭李之菡嘗游南中見翁曰高士也江左有此一人而已通鳥獸語入山中吹律而鳥獸來馴翁死遺命不久東方大亂指
國朝人物志v2學于叔父土亭之菡嘗與群兒戲而折齒群兒恐受長者責謀以飾辭對山甫曰叔常敎我以不欺吾當以實對土亭嘗戲指石佛曰是亦有父母乎對曰物皆父天母地土亭大奇之曰此兒當爲大人嘗與親友同赴擧其友忽被禁
國朝人物志v2鵝溪韓山人之蕃子生甫踰期月能解字人有荷三齒鈀過堂者山海指曰此山字也五歲叔父土亭念其讀書忘食或致傷使輟讀行食呼韻應口對曰食遲猶閟況學遲腹飢猶閟況心飢家貧嘗有療心藥須待靈臺月出
國朝人物志v2沃川徒步詣闕上疏請絶和上曰今見趙憲疏乃人妖也命焚疏憲退歸訪徐處士起起大責曰土亭以公爲遠大之器望若山斗豈意今日直欲爲陳東澹菴之流乎憲曰試觀我疏起曰固不願見也憲
國朝人物志v2嘯聚賊徒傳檄劫掠京師震動或誣稱義兵將李山謙所爲山謙詣全州自明官軍收以殺之山謙土亭李之菡庶子上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