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식(曺植)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70C2DDFFFFB1501X0
자(字)건중(健仲)
호(號)남명(南冥)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501(연산군 7)
졸년1572(선조 5)
시대조선전기
본관창녕(昌寧)
활동분야학자 > 유생
조언형(曺彦亨)
이씨(李氏)
증조부조안습(曺安習)
출신지경상도 삼가현
저서『남명집(南冥集)』
저서『남명학기유편(南冥學記類編)』
저서『파한잡기(破閑雜記)』

[상세내용]

조식(曺植)
1501년(연산군 7)∼1572년(선조 5).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건중(健仲),(주1)
『기년편고(紀年便攷)』에는 자가 건중(楗仲)으로 되어 있다.
호는 남명(南冥). 생원 안습(安習)의 증손으로, 승문원판교 조언형(曺彦亨)의 아들이며, 모친은 이씨(李氏)이다.
1. 유년시절
1501년(연산군 7)경상도 삼가현 토골〔兎洞〕에서 태어나서 어려서부터 학문연구에 열중하였으나 평생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중국의 대유학자인 주자(朱子)정자(程子) 등의 초상화를 손수 그려 병풍으로 만들어 수시로 펴놓고 자신을 독려하였다. 1527년(중종 22)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3년간 시묘하였다.

1531년 생계가 어려워 어머니를 모시고 살림이 넉넉한 처가를 찾아가 김해의 탄동(炭洞)에다 산해정(山海亭)을 지어 제자교육에 힘썼다.
2. 학문연마와 강학활동
1539년 38세에 유일(遺逸)로서 헌릉참봉(獻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1544년 관찰사가 만나기를 청하여도 거절하였다. 1549년(명종 4)에는 전생서주부(典牲署主簿)에 특진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집 근처에 계복당(鷄伏堂)과 뇌룡사(雷龍舍)를 지어 강학에 전념하였다.

그뒤 1552년 종부시주부로 다시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554년 벼슬길에 나아가라는 이황(李滉)의 권고도 거절하였다. 그뒤 1556년 단성현감, 1560년 조지서사지 등으로 부름을 여러 차례 받았지만 취임하지 않았다.

이와같이, 벼슬을 거절하고 은일로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나 그의 명성은 점점 높아만 갔다. 이에 많은 제자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여 1551년 오건(吳健), 1556년 하항(河沆), 1563년 김우옹(金宇顒), 1565년 최영경(崔永慶), 그 이듬해 정구(鄭逑) 등이 찾아와 사사하였다. 1561년 지리산덕천동(德川洞)으로 이거하여 산천재(山天齋)를 짓고 강학에 더욱 힘썼다.

1567년 5월 왕이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다가 같은해 8월에 상서원판관에 임명하여 두번씩이나 부르자 입조하였으나 왕을 만나 치란(治亂)에 관한 의견과 학문의 도리를 표하고 낙향하였다. 그뒤에도 여러 차례 부름을 받았지만 나아가지 않았고, 오직 학문연구와 후진교육에만 힘썼다.
3. 학문적 견해
그는 학문을 알기만 하면 족한 것이 아니라 반궁체험(反躬體驗)과 지경실행(持敬實行)이 더욱 중요한 것이라 주장하였다. 그는 특히 경의(敬義)를 높였는데, 마음이 밝은 것을 ‘경(敬)’이라 하고 외적으로 과단성이 있는 것을 ‘의(義)’라고 하였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바로 ‘경’으로써 마음을 곧게 하고 ‘의’로써 외부생활을 처리하여나간다는 의리철학 또는 생활철학을 표방한 것이다. 그는 특히 실천궁행을 가장 강조하였는데, 그의 일상생활에서도 철저한 절제로 일관하여 불의(不義)와는 일체 타협하지 않았다.

그는 독서할 때마다 몸에 긴요한 것이 있으면 이를 기술, 편찬하였다. 이것이 『학기유편(學記類編)』인데, 그는 이 『학기유편』을 통하여 도(道)의 체통(體統)을 말하고 학문하는 방법과 논심(論心)의 요경 및 수신(修身)의 방법과 치국의 도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삼재태극도(三才太極圖)‧성위태극도(誠爲太極圖)‧천인일리도(天人一理圖) 등 10여종의 도해(圖解)를 붙여 어려운 이학(理學)을 설명하였다.

그는 또 초심자(初心者)에게 『심경(心經)』『서명(西銘)』『태극도설(太極圖說)』 등 심성(心性)에 관한 문장을 가르치는 이황의 교육방법을 반대하고, 『소학』『대학』『논어』와 같은 실천적인 경전을 먼저 가르쳐야 하고 교수방법도 스스로 터득하는 길을 택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4. 이황과의 관계
한편, 그는 경상좌도의 거유(巨儒) 이황과 같은 시대에 살면서 경상우도를 대표하는 대유학자로 쌍벽을 이루었다. 두 거유는 직접 만날 기회는 없었으나 서신으로 서로 안부를 물어 우의를 돈독히 하였지만, 학문적으로는 약간의 마찰을 빚기도 하였다. 그러나 경상도의 학자들은 두 사람을 모두 존경하여 두 문하를 번갈아 출입하는 자가 많았다. 특히, 정구김우옹정탁(鄭琢) 등이 그 대표적인 학자라 하겠다.

그러나 그의 수제자격인 정인홍(鄭仁弘)만은 이황에게 출입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두 거유의 견해차이를 들어 상당한 마찰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물론, 자기의 스승을 높이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나, 뒤에 이언적(李彦迪)과 함께 이황이 문묘에 배향되자 이황과 이언적의 출향(黜享)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두 계열의 문하생들이 친밀한 관계로 지내다가 때로는 소원해진 사이가 되기는 하였으나, 후기에 오면 경상도의 두 학자를 서로 추장(推奬)하는 모습으로 바뀌어갔다.
5. 문인풍과 학풍
조식의 대표적인 문인들을 살펴보면 정구‧곽재우(郭再祐)정인홍김우옹이제신(李濟臣)김효원(金孝元)오건강익(姜翼)문익성(文益成)박제인(朴齊仁)조종도(趙宗道)곽일(郭𧺝)하항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한국유학사에서 크게 세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이들은 대부분 은둔적인 학풍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그가 벼슬길에 나오지 않고 학문에 몰두한 행적이 그대로 제자들에게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경상좌도이황과 쌍벽을 이루는 경상우도의 학풍을 대표하였다.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진주 등지에 거주하면서 유학을 진흥시키고 문풍(文風)을 일으킨 지역문화의 기수들이라 하겠다.

셋째, 국가의 위기 앞에 문인으로 몸소 앞장서 싸움에 참여하였다는 점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우도의 의병활동에 참여, 국가의 위기 앞에 투철한 선비정신을 보여주었다. 즉, 그들은 국가의 위란 앞에 학자의 몸으로 수수방관하지 않고 직접 몸을 던진 참여정신이 투철한 자들이었다. 이러한 정신과 모습은 조선 말기까지 이어졌던 것이다.
6. 사후의 상황
선조대사간에 추증되고, 1615년(광해군 7) 영의정이 더하여졌다. 진주덕천서원(德川書院), 김해신산서원(新山書院), 삼가용암서원(龍巖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남명집』『남명학기유편(南冥學記類編)』『파한잡기(破閑雜記)』 등이 있으며, 작품으로 「남명가」‧「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가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人物志
燃藜室記述
淸選考
南冥集
寒岡集
南冥 曺植과 南冥學派(李樹健, 民族文化論叢 2‧3合輯, 1982)
南冥의 反躬體驗과 持敬居義思想의 硏究(崔丞灝, 韓國의 哲學 11, 1983)

[집필자]

송찬식(宋贊植)

호 : "남명(南冥)"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5錄事曰先生爲國死公爲先生死爲國爲先生俱是死於死文忠配享崇仁殿名入筆苑中宗丁丑從祀 文廟鄭逑問於李滉曰南冥甞以圃隱出䖏爲疑鄙意圃隱一死頗可笑爲恭愍朝大臣十三年於不可則止之義已爲可愧又事辛禑父子謂以禑爲王出也
紀年便攷v13曹植彥亨子燕山辛酉生字楗仲號南冥又方丈山人常佩金鈴而喚惺號曰惺惺子與金大有李希顏裵紳洪仁祐成運從遊豪勇不羈以㓛名文章自期好讀左柳為文
國朝人物志v1南冥門人
國朝人物志v1南冥撰碑
國朝人物志v2食則所遺子孫者安而已歷事兩君賢勞獨勤而位不過三品則其不苟阿世取榮者可知矣人物考子植號南冥見下
國朝人物志v2殊無人臣之義杖配義州賜死後伸乙巳錄兄震字仲允丁酉生員文科參議乙巳被謫上同南冥曺植夢見霖詩曰與子樹下別此懷誰似之丹心猶未死只有半邊皮朝野僉載
國朝人物志v2良才驛壁書之禍被謪謫昆陽戊申量移巨濟在謪謫十六年猶有惓惓愛國之誠嘗草疏極陳時弊南冥曺植往見力止之不果上著壯行通考負暄錄各十卷庚申卒于謪謫年四十九獄禍方嚴尹元衡欲
國朝人物志v2文有曰學究天人沈機先物蓋有實見得於公而若使栗谷早知公則必不以詆公矣尹孤山集兒時與南冥曺植同學山中其嬉戲嘗以安社稷自期謂南冥曰爾則枯死巖穴之人也及公登台鼎南冥以書抵曰願公
國朝人物志v2潭日記己丑以全州府尹退歸楊根靈川洞卒年六十七弟彥紀字張甫號考槃有學行從南冥曺植受業進士官至別坐彥縝字敬甫號雪厓官止司評彥縝子橃字公濟號華隱
國朝人物志v2字子強號德溪咸陽人少師南冥曺植聰明篤學壬子生員進士戊午文科歷典翰吏曹正郞務恢公道性淳實果敢遇事直前無所回撓人
國朝人物志v2字健仲號南冥昌寧人正郞彥亨子少豪氣絶倫學文章好讀左柳氏自負其奇才二十六見魯齊心法志伊尹之志
國朝人物志v2字子誠號石溪平山人寓居密城隱居不仕力於爲學多有所見南冥曺植許以知己友季誠早從松堂朴英學有師友淵源之正卒後學者稱之曰松溪先生病亟之日小室在
國朝人物志v2宗朝以六行俱備起授六品禮遇之隆比三公有加竟不入對後屢徵不起年八十一卒無子大東韻玉所友南冥花潭土亭皆遠至爲對床連夜語李相國浚慶聞之曰應有德星見於天矣牛溪集墓碣官至司贍寺
國朝人物志v2少喜文藝嘗作蘇軾論考官覽之大驚與裴紳上書明倫堂請行齒坐事雖不行聲名藉甚乙巳禍從南冥於方丈山下居焉嘗服仁宗三年爲作桐林別曲以見志產業頗饒而輕財好施散盡不惜嘗登金
國朝人物志v2集行狀好遊佳山水盡城中奇異之觀中年作亭漢濱扁以水月日邀騷人韻士觴詠偕樂當世名儒如退陶南冥東洲北窓栗谷牛溪諸先生咸敬重之其筆迹散在金石嘗自言吾所書康陵誌文最是着意筆他書皆不
國朝人物志v2窮喪無告者力救之自號四耐耐困耐飢耐寒耐暑也名山大川無所不往出入晦齋退溪栗谷牛溪之門又與南冥蘇齋遊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字景立靈山人參議弼周子丙午文科牧使己丑卒年六十二南冥曺植作墓銘人物考
國朝人物志v2是乎曰吾無所恃只恃草屋數間壬申爲北道兵使諸胡相戒曰張將軍來鎭愼毋犯邊生事在梁山往謁南冥曺植植奇之曰百世之下復見夷齊禦下卒以嚴或謂過當弼武曰夫好生惡死人之常情驅惡死之人以赴死
國朝人物志v2死峻刑取服公爲推官一問知其枉竟釋之後有人上寺供佛曰爲兪公祈福者乃其人也佐嶺南造南冥曺先生先生曰老夫閱人多矣未有快人意如某者人物考
國朝人物志v2士官昭格署參奉九歲母夫人患痢公嘗糞行禱北辰人異之平居必鷄鳴盥櫛比晨謁家廟出就書座危坐誦讀從南冥曺植遊與玉溪盧禛東岡金宇顒講磨人物考
國朝人物志v2字孝元號守愚堂和順人始請學于南冥時丁國恤永慶執筍爲贄來拜門下南冥一見異之許爲高世人物永慶淸介絶世非其義也一毫不取事
國朝人物志v2伯生號孤潭全義人甲子生員壬申文科歷踐淸要官至都承旨有詩名居漢城不憚遠學拜南冥之門喜得聞道作輓詞曰邵子辭徵日文公遇遯辰工程惟敬義方寸其經綸疾惡剛腸在憂時老涕頻平
國朝人物志v2字時仲綾城人正郞壽福子出繼叔父郡守壽延之後好賢樂善出於天性尊事南冥壬子進士戊午文科官至正出爲晉州牧使與守愚崔永慶入德川洞創建書院極其宣力同上
國朝人物志v2字汝涵自弱冠就南冥學招明敏有幹事手段壬辰倭亂倡義起義旅咸安郡守柳崇仁再度棄官爲晉州守門將公報于性諭使
國朝人物志v2中而未嘗見其人今者觀夫君所爲則與小學書一樣德川師友錄丁丑九月安習之名敏學言南冥門人有河解叔天資大高
國朝人物志v2名公弼性軒昂不郡群不以外物動其心南冥曺植一見稱之曰此人天品淸高知識通明雖學詩禮者殆不能及年四十八終德川師友錄
國朝人物志v2字君弼號撫松軒事母至孝晩及南冥之門多蒙敎誨行己無一點瑕疵及其終也天祐爲文以祭曰帝鑄洪爐降生東土氣稟高明德配博厚樂
國朝人物志v2祥甫號日新堂少孤孝於母壬辰亂奉木主令一奴輦祭器而行必具朝夕上食不以顚頓困乏而一日或廢學于南冥之門鄭寒岡嘗以詩哭其歿同上
國朝人物志v2字厚仲淸香堂源子逮事南冥好善疾惡出於天性此以下皆南冥門人權世倫字景彝庚午生員出入先生門下所向甚正
國朝人物志v2字任重號雪壑全義人學于守愚崔永慶仍出入南冥之門辛卯遭父喪壬辰聞大駕西巡公自念民生於三事之如一今宗社危矣君父急矣不可以常禮處之旣練乃募
國朝人物志v2人敬復五代孫聰明絶人讀書一遍輒不忘乙卯文科歷翰苑春坊外知州府者五爲金海府使創立南冥先生新山書院于山海亭舊址嘗上書劾尹元衡南冥致書稱奬府使河死於己卯禍久未伸
國朝人物志v2聞于朝除陰城山陰縣監以養其親人皆榮之同上李晁字景叔星州人早孤能自奮爲學出入南冥之門丁卯文科佐郞除晉慶二州判官出爲護送官倭進胡椒謝不受倭驚服有一片淸氷六月涼之句年五十
國朝人物志v2字公愼號立齋年十九往學于南冥先生嘆曰行到十層地位其見稱師門如此甲子生員館學銓曹交薦爲參奉未久辭退于家後拜別提察訪
國朝人物志v2字明中號潮溪晉州人好學力行游南冥門先生甚重之再除參奉不起常從守愚崔永慶遊及己丑禍起逮詔獄栲死年四十四士友咸痛
國朝人物志v2字毅叔號守吾堂咸陽人德溪健之從弟受業于德溪及南冥之門論議峻發操行益勵儕流推重晩節廢擧專精實學手不釋薛文淸文集及其歿也守愚堂河覺齋治喪
國朝人物志v2字伯由號大笑軒咸安人漁溪旅五代孫南冥曺植門人七歲能屬文十歲學于隱君子鄭斗聰明過人戊午生員屢擧不第薦授察訪歷縣令有至性
國朝人物志v2字太源號竹牖高敞人辛酉生員丙寅文科遊退陶南冥門甚見器重壬辰起義旅以付郭再祐討賊有功除陜川郡守丁酉再搶公不離郡境賊至輒討却之都元帥
國朝人物志v2字道源號醒齋晉州人戊辰進士薦爲王子師傅與弟覺齋沆同受業南冥曺植之門孝友篤學成渾李珥被詆誣洛抗章洞辨自是不樂仕退歸尙州壬辰死于倭人物考
國朝人物志v2字仁叟晉州人進士瑞子參判淮仲五代孫庚辰文科早歲遊南冥曺植門登第以微事見忤雖抹殺沈淪未嘗以身詘刓其方壬辰兩京失守觀察沈岱擧以從事壽男起自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