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붕(鄭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15BD95FFFFB1467X0
자(字)운정(雲程)
호(號)신당(新堂)
생년1467(세조 13)
졸년1512(중종 7)
시대조선전기
본관해주(海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철견(鄭鐵堅)
출신지선산

[상세내용]

정붕(鄭鵬)
1467년(세조 13)∼1512년(중종 7).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운정(雲程), 호는 신당(新堂). 선산 출신.

현감 정철견(鄭鐵堅)의 아들이며, 정석견(鄭錫堅)의 조카이다. 가학(家學)을 계승하였으며,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486년(성종 17) 진사가 되고, 1492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가 되었다. 정자지평정언을 거쳐 1504년(연산군 10) 교리로 있으면서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영덕에 유배되었다.

무오사화‧갑자사화로 많은 사림파가 주살(誅殺)을 당할 때 현명하게 처신, 몸을 보존하였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다시 교리에 복직되어 상경중 병으로 사퇴하고 고향에 돌아갔다.

그뒤 정승 성희안(成希顔)의 건의에 따라 왕의 특지로 부름을 받았으나 홍경주(洪景舟) 등 간신배가 조정에 있음을 보고 낙향하자 청송부사에 제수되었는데, 재임 3년 만에 임지에서 죽었다.

천성이 매우 청백하여 의가 아닌 것은 행하지 않았다. 일찍이 영의정 성희안과 젊어서부터 친교가 있었으며, 길재(吉再)김숙자(金叔滋)의 학통과 김굉필의 가르침을 받아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고, 이황(李滉)이 일찍이 그의 학문이 깊다고 칭찬하였다.

『안상도(案上圖)』를 지어 자경(自警)하였으며, 성리학자인 박영(朴英)이 그의 문인이다. 선산금오서원(金烏書院), 개령덕림서원(德林書院)에 봉향되었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國朝榜目
海東名臣錄
燃藜室記述
一善誌
樊巖集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수건(李樹健)

명 : "붕(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乘總v3死或問於朴英曰鄭先生玉堂之議可謂能處變而出處言之似未穩當英曰然靖國後復入玉署朴耕趙光輔獄起朴英馳告之倚杖默究曰此必文世皐所爲也伯牛愚而不學被禍不測若趙必免果如所料朴死而趙免未幾辭歸終不出人問其故曰拜恩
震乘總v3宰相競治第宅苞苴成市而獨不然歷剔三朝出入帷幄按節三道踐履六卿卒登台鉉以佐鄭鵬聖主○靑松府使鄭鵬卒于官字雲程號新堂學於金宏弼甲子謫盈德爲校理時燕山問于玉堂曰予欲殺鄭誠謹可否諸僚會待鵬至曰可殺滿座愕然鵬曰
震乘總v3○靑松府使鄭鵬卒于官鵬字雲程號新堂學於金宏弼甲子謫盈德爲校理時燕山問于玉堂曰予欲殺鄭誠謹可否諸僚會待至曰可殺滿座愕然鵬曰一人死與吾輩皆死孰愈誠謹遂死或問於朴英曰鄭先生玉堂之議可謂能處變而出處言之似未穩
震乘總v3官鵬字雲程號新堂學於金宏弼甲子謫盈德爲校理時燕山問于玉堂曰予欲殺鄭誠謹可否諸僚會待鵬至曰可殺滿座愕然曰一人死與吾輩皆死孰愈誠謹遂死或問於朴英曰鄭先生玉堂之議可謂能處變而出處言之似未穩當英曰然靖國後復入
大事編年v4自警李退溪曰公之學問精造當觀於此圖矣爲玉堂時燕山問于玉堂曰予欲殺鄭誠謹可否諸僚會待鵬至曰可殺滿座愕然曰一人死與吾輩皆死孰愈誠謹遂死或問於朴英曰鄭先生玉堂之議可謂能處變而以出處言之似未穩當英曰然
國朝人物志v1闕中歎曰馳馬試劍一勇夫事耳人而不學何以爲君子遂決意歸受學于新堂鄭鵬潛心體認杜門不出者數年擧手指冷山曰彼山外何如英曰外面只是前面彼此一耳鵬笑曰乃今知子讀書之功因留數月講究不怠嘗爲金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