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거이(李居易)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C70C774B1348X0
자(字)낙천(樂天)
호(號)청허자(淸虛子)
시호(諡號)문도(文度)
생년1348(충목왕 4)
졸년1412(태종 12)
시대조선전기
본관청주(淸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공신호정사공신(定社功臣)
공신호좌명공신(佐命功臣)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거이(李居易)
1348년(충목왕 4)∼1412년(태종 12).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낙천(樂天), 호는 청허자(淸虛子).

고려 평장사(平章事) 이공승(李公升)의 6대손으로, 고려말에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를 역임하였다. 조선왕조가 건국된 뒤 1393년(태조 2)에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에 임명되고, 그뒤 평안도병마도절제사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참찬문하부사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그러나 그의 출세는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집권한 이후부터이었다. 그는 왕자의 난 직후에 책봉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올랐으며, 또한 태종이 즉위한 직후에는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봉되었다. 사실 그는 조선왕조의 왕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즉, 그의 아들 이저(李佇)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장녀 경신공주(慶愼公主)와 혼인하였으며, 또 다른 아들 이백강(李伯剛)태종의 장녀 정순공주(貞順公主)와 혼인하였다. 이러한 특수한 관계가 조선왕조 건국 이후에도 그의 정치적 진출을 쉽게 하였으며, 나아가 태종의 집권 이후에도 그가 공신이 될 수 있는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정종이 재위할 때 시행된 사병혁파(私兵革罷) 조처에 대하여 크게 불만을 토로한 것이 연유가 되어 한때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좌천되었다. 이후 1402년(태종 2) 좌명공신이 되고 또한 영사평부사(領司平府事)로 승진되었다.

이후에 다시 대간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복직되어서는 우정승을 거쳐, 영의정의 지위에까지 올랐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참고문헌]

太祖實錄
定宗實錄
太宗實錄
燃藜室記述
國朝人物志
號譜

[집필자]

정두희(鄭杜熙)

명 : "거이(居易)"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駙馬上黨府院君李薆錄定社佐命功臣景肅公生一男淸州人父領議政文度公居易
國朝編年v01怨不卽納牌記自高麗末官不籍兵諸將各占私兵號曰牌記大將○於是貶爲鷄林府尹慶尙觀察使趙璞言於知陜州權軫曰居易謂我曰吾悔信趙浚之言問曰何故居易曰當革私兵時浚與我言衛王室莫若兵强予信之不卽納牌記獲罪以至今日軫拜諫
國朝編年v01議政之孫議政已老其父早世鞠於寡母端不驕逸予以諸壻觀之以趙浚子大臨爲壻果爲睦賊所誤幾不得其死淸平君之父居易亦坐大罪以予之故得保令終父有罪而子爲駙馬事之難處莫甚焉故今只選士族子孫欲其無嬌蹇之習也○上率百官詣文
大事編年v1罪上曰浚豈有是言留其狀近等固請於是下浚於獄命參贊李舒巡軍萬戶尹抵李稷金承䨙等鞠之近等請置各處分遣人就居易璞所在鞠問上使知申事朴錫命議於太宗太宗曰奸獄之事雖在外者必進於京中者欲聽之衆而卞之明也分遣人問之恐不
大事編年v1私兵皆屬三軍府從之參贊門下府事李居易憤怨有言不卽納牌記貶爲雞林府尹慶尙道觀察使趙璞言於知陝川事權軫曰居易謂我曰吾悔信趙浚之言當革私兵之時浚與我言衛王室莫若兵强余信之不卽納牌記獲罪以至今曰後軫拜諫議大夫與權
大事編年v1之言當革私兵之時浚與我言衛王室莫若兵强余信之不卽納牌記獲罪以至今曰後軫拜諫議大夫與權近朴訔等交章言浚居易等罪上曰浚豈有是言留其狀近等固請於是下浚於獄命參贊李舒巡軍萬戶尹抵李稷金承䨙等鞠之近等請置各處分遣人
大事編年v1卿若使浚得罪以死人其以卿爲忠乎抵再拜而出臺省更請分遣人鞫問上不聽令巡軍治之璞與軫之言與臺省疏意不同繫居易與璞對質璞屈大有慙色貶璞于利川流軫于丑山島浚被鞫魂喪魄迷直視而已不得一言獄幾成賴太宗力救得免
大事編年v1卞之明也分遣人問之恐不可又謂錫命曰雖細民之事尙欲明辨使無冤況浚元勳大臣不相對辨羅織其罪可乎上命巡軍執居易璞以來太宗召尹抵謂曰上以卿爲處心公正必不阿私以爲巡軍萬戶卿其愼之太上開國主上嗣位予以不肖爲世子皆浚之
國朝人物志v1人文貞公公升之六代孫累官至參贊門下府事入本朝定宗庚辰臺諫請罷私兵皆屬三軍府從之居易憤怨不卽納牌記於是貶爲鷄林府尹時慶尙道觀察使趙璞言於知陜州權軫曰居易謂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