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金恂)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AE40C21CFFFFB1258X0 |
자(字) | 귀후(歸厚) |
시호(諡號) | 문영(文英) |
생년 | 1258(고종 45) |
졸년 | 1321(충숙왕 8) |
시대 | 고려후기 |
본관 | 안동(安東[舊])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김방경(金方慶) |

[상세내용]
김순(金恂)
1258년(고종 45)∼1321년(충숙왕 8). 고려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舊]). 자는 귀후(歸厚).
김방경(金方慶)의 넷째아들이다.
1279년(충렬왕 5)에 과거에 급제하여 낭장(郞將)으로 학사(學士)‧직강(直講)이 되었다. 아버지 김방경이 일본을 정벌할 때 종군하고자 했으나, 허락하지 않으므로 몰래 배에 올라 종군하고 돌아와서 전중시사(殿中侍史)가 되었다.
1297년 좌부승지, 이듬해 좌승지에 오르고 광정부사(光政副使)‧승지(承旨)‧성균좨주(成均祭酒)‧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지민조사(知民曹事)를 역임했으며, 다시 삼사좌사(三司左使)를 거쳐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어 사직했다.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자 다시 등용되어 1312년(충선왕 4)에 중대광(重大匡)‧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1316년에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올랐다.
성격이 관후하고 예서(隷書)를 잘 썼으며, 거문고와 퉁소를 즐겼다. 시호는 문영(文英)이다.
김방경(金方慶)의 넷째아들이다.
1279년(충렬왕 5)에 과거에 급제하여 낭장(郞將)으로 학사(學士)‧직강(直講)이 되었다. 아버지 김방경이 일본을 정벌할 때 종군하고자 했으나, 허락하지 않으므로 몰래 배에 올라 종군하고 돌아와서 전중시사(殿中侍史)가 되었다.
1297년 좌부승지, 이듬해 좌승지에 오르고 광정부사(光政副使)‧승지(承旨)‧성균좨주(成均祭酒)‧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지민조사(知民曹事)를 역임했으며, 다시 삼사좌사(三司左使)를 거쳐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어 사직했다.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자 다시 등용되어 1312년(충선왕 4)에 중대광(重大匡)‧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1316년에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올랐다.
성격이 관후하고 예서(隷書)를 잘 썼으며, 거문고와 퉁소를 즐겼다. 시호는 문영(文英)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高麗史節要
[집필자]
민병하(閔丙河)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