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원효(元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6D0D6A8FFFFB0617X0
이명(異名)설서당(薛誓幢)
이명(異名)설신당(薛新幢)
생년617(진평왕 39)
졸년686(신문왕 6)
시대통일신라
활동분야종교 > 불교인
설담날(薛談捺)
조부잉피공(仍皮公)
요석공주(瑤石公主)
출신지압량(押梁: 지금의 慶山市) 불지촌(佛地村)

[상세내용]

원효(元曉)
617년(진평왕 39)∼686년(신문왕 6). 신라시대의 고승. 성은 설씨(薛氏), 원효는 법명(法名), 아명은 서당(誓幢) 또는 신당(新幢). 압량(押梁: 지금의 慶山市) 불지촌(佛地村) 출신.
1. 가계
잉피공(仍皮公)의 손자이며, 내마(奈麻) 설담날(薛談捺)의 아들이다. 불지촌은 발지촌(發智村) 또는 불등을촌(佛等乙村)이라고도 불렀다고 하는데, 지금도 경산시 자인면의 한 언덕에는 신문왕 당시 원효가 지었다는 금당(金堂)자리가 남아 있고, 그 밑 골짜기에는 그의 아들 설총(薛聰)의 출생지로 전하는 자리가 남아 있어 그 자리가 바로 원효가 태어난 곳이 아닌가 생각된다.

원효의 집은 본래 율곡(栗谷)의 서남쪽에 있었다고 전하나, 어머니가 원효를 배고 이 골짜기를 지나다가 갑자기 산기가 있어 집에 들어갈 사이도 없이 밤나무 밑에서 출산을 하여 이 나무를 사라수(裟羅樹)라 불렀다고 전한다. 또, 밤알이 이상하게 커서 이를 사라밤〔裟羅栗〕이라고도 불렀다고 전한다.
2. 사승과 득도
소년시절에는 화랑의 무리에 속하였으나 도중에 깨달은 바가 있어 출가할 것을 결심하고, 자기 집을 헐어 초개사(初開寺)라는 절을 세웠다.

648년(진덕여왕 2) 황룡사(皇龍寺)에서 각종 불전을 섭렵하며 수도에 정진하였다. 일정한 스승을 모시고 경전을 공부하지 않고 타고난 총명으로 널리 전적(典籍)을 섭렵하여 한국불교사에 길이 남는 최대의 학자이자 사상가가 되었다.

기록에는 원효고구려로부터 망명하여 완산주(完山州)에 와 있던 보덕(普德)을 스승으로 하였다는 설도 있으며, 시대적으로 보아 원광(圓光)자장(慈藏)으로부터 불도를 배웠을 가능성이 많다. 원효는 스스로 경전을 연구하고 수도에 정진하다가 당시의 풍조에 따라 의상(義湘)과 함께 도당(渡唐)의 길을 떠났다.

이때가 그의 나이 34세 때였다.

그러나 육로로 고구려를 통과하다가 도중에 고구려군에게 잡혀 귀환하였다.

10년 뒤 다시 의상과 함께 해로를 통하여 당나라로 들어가려 하였으나 여행도중에 해골에 괸 물을 마시고 “진리는 결코 밖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깨달음을 터득하고 의상과 헤어져서 돌아왔다.
3. 실계
이후 태종무열왕의 둘째딸로 남편을 백제와의 싸움에서 사별하고 홀로 있는 요석공주(瑤石公主)와의 사이에서 설총을 낳았는데, 이것은 655년에서 660년, 즉 원효의 나이 39세에서 44세 사이에 일어난 일이 아니었던가 한다.

이 실계(失戒)의 사실은 원효로 하여금 더욱 위대한 사상가로 전환하게 된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실계 뒤 스스로 복성거사(卜性居士) 또는 소성거사(小性居士)라고 칭하고 속인행세를 하였다.

어느날 한 광대가 이상한 모양을 한 큰 표주박을 가지고 춤추는 놀이를 구경하고는 깨달은 바가 있어, 광대와 같은 복장을 하고 불교의 이치를 노래로 지어 세상에 유포시킴으로써 부처님의 가르침을 무식한 대중에까지 잘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그 노래의 줄거리는 『화엄경』의 이치를 담은 것으로 “모든 것에 거리낌이 없는 사람이라야 생사의 편안함을 얻나니라.”라는 누구나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노랫가락인데, 그 노래를 「무애가(無㝵歌)」라 불렀다. 그리고 별다른 이유도 없이 미친 사람과 같은 말과 행동을 하여 이해할 수 없는 점도 있어 거사(居士)들과 어울려 술집이나 기생집에도 드나들었다.

혹은 돌에 글을 새기는 이들의 쇠칼과 쇠망치를 가지고 다니며 글을 새기기도 하고, 혹은 『화엄경』에 대한 주소(註疏)를 지어 그것을 강의하기도 하였다.

또, 어떤 때에는 가야금과 같은 악기를 들고 사당(祠堂)에 가서 음악을 즐기기도 하였다. 그는 또 여염집에서 유숙하기도 하고, 혹은 명산대천을 찾아 좌선(坐禪)하는 등 임의로 기회를 좇아 생활하되 어떤 일정한 틀에 박힌 생활태도가 없었다.

행적 또한 뚜렷한 어떤 규범을 따르지 않았고, 또 사람들을 교화하는 방법도 일정하지 않았다. 어떤 때에는 받았던 밥상을 내동댕이치고 사람을 구하기도 하였고, 또 어떤 때에는 입안에 물고 있던 물을 뱉어 불을 끄기도 하였다.

한날 한시에 여러 곳에서 똑같은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또 어떤 때에는 온 천하를 다 찾아도 자취를 찾을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의 교화방법은 중국의 고승 배도(杯度)나 지공(誌公)을 닮은 데가 많았다.
4. 사상
현존하는 그의 저술은 20부 22권이 있으며, 현재 전해지지 않는 것까지 포함하면 100여부 240권이나 된다.

특히, 그의 『대승기신론소』중국 고승들이 해동소(海東疏)라 하여 즐겨 인용하였고, 『금강삼매경론』은 인도의 마명(馬鳴)용수 등과 같은 고승이 아니고는 얻기 힘든 논(論)이라는 명칭을 받은 저작으로서 그의 세계관을 알 수 있는 대저술이다.

그는 학승(學僧)으로서 높이 평가될 뿐만 아니라, 민중교화승으로서 당시 왕실 중심의 귀족화된 불교를 민중불교로 바꾸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또, 종파주의적인 방향으로 달리던 불교이론을 고차원적인 입장에서 회통(會通)시키려 하였는데 그것을 오늘날 원효의 화쟁사상(和諍思想)이라 부르며, 이것은 그의 일심사상(一心思想)‧무애사상(無㝵思想)과 함께 원효사상을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의 사상은 너무나 다양하여 헤아리기 어려우나 항상 ‘하나’라는 구심점을 향하였고, 화쟁과 자유를 제창하였다.

① 일심사상: 원효의 일심사상은 그의 저서 『금강삼매경론』『대승기신론소』 등 그의 모든 저술에서 철저하게 천명되고 있다. 인간의 심식(心識)을 깊이 통찰하여 본각(本覺)으로 돌아가는 것, 즉 귀일심원(歸一心源: 일심의 원천으로 돌아가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설정하고 육바라밀(六波羅蜜)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만법귀일(萬法歸一)‧만행귀진(萬行歸眞)을 굳게 믿고 사상과 생활을 이끌어갔다. 그리고 일심이야말로 만물의 주추(主樞)이며, 일심의 세계를 불국토(佛國土) 극락으로 보았고, 이것을 대승‧불성(佛性)‧열반이라고 불렀다.

② 화쟁사상: 원효는 어느 한 종파에 치우치지 않고 『화엄경』『반야경』『열반경』『해심밀경(海深密經)』『아미타경』 등 대승불교 경전 전체를 섭렵하고 통효(通曉)한 사람이었다. 그리하여 전체 불교를 하나의 진리에 귀납하고 종합 정리하여 자기 분열이 없는 보다 높은 입장에서 불교의 사상체계를 세웠다.

이러한 그의 조화사상을 화쟁사상이라고 한다.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은 바로 이러한 화쟁사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그의 핵심적인 저술이다. 그는 여러 이설(異說)을 십문으로 모아 정리하고 회통함으로써 일승불교(一乘佛敎)의 건설을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의 이와같은 통불교적 귀일사상은 한국불교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③ 무애사상: 원효의 무애사상은 그의 사생활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그는 어디에도 걸림이 없는 철저한 자유인이었다. “일체에 걸림이 없는 사람은 단번에 생사를 벗어난다(一切無㝵人 一道出生死).”라고 한 그의 말을 보더라도 그의 무애사상은 짐작된다.

그는 부처와 중생을 둘로 보지 않았으며, 오히려 “무릇 중생의 마음은 원융하여 걸림이 없는 것이니, 태연하기가 허공과 같고 잠잠하기가 오히려 바다와 같으므로 평등하여 차별상(差別相)이 없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철저한 자유가 중생심(衆生心)에 내재되어 있다고 보았고, 스스로도 철저한 자유인이 될 수 있었으며, 그 어느 종파에도 치우치지 않고 보다 높은 차원에서 일승과 일심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밖에도 원효는 여래장사상 등 불교의 모든 사상에 대하여서도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확립하였다.
5. 저술
현재 알려져 있는 저서로는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 1권(存), 『금강반야경소(金剛般若經疏)』 3권(失), 『반야심경소(般若心經疏)』 1권(失), 『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 1권(存), 『법화경방편품요간(法華經方便品料簡)』 1권(失), 『법화경요략(法華經要略)』 1권(失), 『법화약술(法花略述)』 1권(失), 『금강삼매경론』 3권(存), 『화엄강목(華嚴綱目)』 1권(失), 『화엄경소(華嚴經疏)』 10권(存), 『화엄경종요(華嚴經宗要)』(失), 『화엄경입법계품초(華嚴經入法界品抄)』 2권(失), 『대승관행(大乘觀行)』 1권(失), 『일도장(一道章)』 1권(失), 『승만경소(勝鬘經疏)』 2권(失), 『미륵상하생경기(彌勒上下生經記)』 3권(失), 『유마경종요(維摩經宗要)』 1권(失), 『유마경소(維摩經疏)』 3권(失), 『금광명경소(金光明經疏)』 8권(失), 『능가경소(楞伽經疏)』 7권(失), 『능가경요간(楞伽經料簡)』(失), 『능가경종요(楞伽經宗要)』 1권(失),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3권(序存), 『부증불감경소(不增不減經疏)』 1권(失), 『방광경소(方廣經疏)』 1권(失), 『범망경종요(梵網經宗要)』 1권(失), 『범망경소(梵網經疏)』 2권(失), 『범망경약소(梵網經略疏)』 1권(失), 『범망경보살계본사기(梵網經菩薩戒本私記)』 2권(上卷存), 『보살계본지범요기(菩薩戒本持犯要記)』 1권(存), 『보살영락본업경소(菩薩瓔珞本業經疏)』 3권(序‧上卷存), 『사분율갈마소(四分律羯磨疏)』 4권(失), 『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 1권(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1권(存), 『육현관의발보리심의정의함(六現觀義發菩提心義淨義含)』 1권(失), 『조복아심론(調伏我心論)』 1권(失), 『광백론종요(廣百論宗要)』 1권(失), 『광백론촬요(廣百論撮要)』 1권(失), 『광백론지귀(廣百論旨歸)』 1권(失), 『삼론종요(三論宗要)』 1권(失), 『중관론종요(中觀論宗要)』 1권(失), 『장진론종요(掌珍論宗要)』 1권(失), 『장진론요간(掌珍論料簡)』 1권(失), 『유가초(瑜伽抄)』 5권(失), 『유가론중실(瑜伽論中實)』 4권(失), 『성유식론종요(成喩識論宗要)』 1권(失), 『양섭론소초(梁攝論疏抄)』 4권(失), 『섭대승론세친석론약기(攝大乘論世親釋論略記)』 4권(失), 『섭대승론소(攝大乘論疏)』 4권(失), 『중변분별론소(中邊分別論疏)』 4권(存), 『변중변론소(辨中邊論疏)』 4권(失), 『잡집론소(雜集論疏)』 5권(失), 『보성론종요(寶性論宗要)』 1권(失), 『보성론요간(寶性論料簡)』 1권(失), 『인명론소(因明論疏)』 1권(失), 『판비량론(判比量論)』 1권(存), 『인명입정리론기(因明入正理論記)』 1권(失),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권(存), 『기신론별기(起信論別記)』 2권(存), 『대승기신론종요(大乘起信論宗要)』 1권(失), 『대승기신론요간(大乘起信論料簡)』 1권(失), 『대승기신론대기(大乘起信論大記)』 1권(失), 『대승기신론사기(大乘起信論私記)』 1권(失), 『기신론일도장(起信論一道章)』 1권(失), 『이장의(二障義)』 1권(存), 『초장관문(初章觀文)』 2권(失), 『이제장(二諦章)』 1권(失), 『십문화쟁론』 2권(存), 『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 1권(存), 『안신사심론(安身事心論)』 1권(失), 『구도비유론(求道臂喩論)』 1권(失), 『청변호법공유정론(淸辨護法空有淨論)』 1권(失), 『성실론소(成實論疏)』 16권(失), 『아미타경통찬소(阿彌陀經通讚疏)』 2권(失), 『무량의경종요(無量義經宗要)』 1권(失),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1권(存), 『무량수경요간(無量壽經料簡)』(失), 『무량수경사기(無量壽經私記)』 1권(失),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 1권(存), 『무량수경소(無量壽經疏)』 1권(失), 『열반경종요(涅槃經宗要)』 2권(存), 『열반경소(涅槃經疏)』 5권(失), 『반주삼매경소(般舟三昧經疏)』 1권(失), 『반주삼매경약기(般舟三昧經略記)』 1권(失), 『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 1권(存) 등이 있다.

[참고문헌]

三國遺事
宋高僧傳
元曉(李箕永, 韓國의 人間像 3, 新丘文化社, 1965)
元曉의 人間觀(李箕永, 哲學的 人間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5)

[집필자]

이기영(李箕永)

법명 : "원효(元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東國歷代總目v01翁布衣革帶傴僂而來曰凡爲君者莫不親近老成而興昵比妖艶而亡王聞之愀然曰請書之以爲戒遂擢聡高秩聡字聡智父元曉嘗爲沙門淹該佛書旣而反本娶瑤石宮寡夫人生聡聡生而明銳旣長博學能文以方言解九經義訓導後生又以俚語製吏禮
見睫錄v1五臺現於佛書名於天下高僧梵日生於斯茲藏寶川修道於斯義相元曉往來於斯退溪集
大東遺事v1兵且退癘薛聰疫自愈能致太平云○王嘗引學士薛聰燕語聰進花王說以諷之王愀然曰子之諷我深矣命書之聰句麗僧元曉之子元曉嘗唱歌曰誰許沒柯斧我斫支天柱太宗王聞之曰此師欲得貴婦產賢子耳國有大賢利莫大焉時瑤石宮有宗
國朝捷錄v01魏時人金可紀唐宣宗時人崔致遠入唐遇道人得仙術藏之東敀失意與兄賢俊講解之挈家入伽倻山姜邯贊見名將權眞人元曉淹解佛書識天地之妙薛聰父韓惟漢䴡中葉時人見李資謙之橫甚隱於智異山岳陽洞或以爲化仙去郭輿㒱得隱於全州多
蔚珍邑誌(江原道)在縣西十五里安逸王山東南來一枝其下 有天粮巖巖下有元曉石臺今號爲元曉窟懸鍾山在縣南三十里蚕山東麓落如懸鍾
蔚珍邑誌(江原道)傍有水穴朝夕産米二升故因名天粮岩名其村 曰米庫村矣元曉去後有一貪僧來鑿其穴而大之遂 米絶不出釼山寺在天粮
蔚珍邑誌(江原道)爐峯靑螺峯鍾岩峯西有芙蓉城鶴巢坮北 有金塔峰義湘臺元曉窟九龍穴寺山根於白 岩山故又稱白岩山佛歸寺其傍有寶
蔚珍邑誌(江原道)曲鍾岩峰霜落秋霄半山風颯颯生禪窓淸不寐 塵想警塵聲元曉窟磵壑生秋氣僧亡古窟寒至今餘白 石義湘殿最勝神僧殿
東國名儒錄n1책解九經又作俚道通 均篇以審世義以訓語以敎民爲化大增元曉之子元 曉爲僧時通淫石家寡女辛氏生聰東廡首坐 元曉
東國名儒錄n1책元曉之子元 曉爲僧時通淫石家寡女辛氏生聰東廡首坐 元曉生先生後退俗爲少性居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