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재륜(鄭載崙)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7ACB95CB1648X0
자(字)수원(秀遠)
호(號)죽헌(竹軒)
시호(諡號)익효(翼孝)
생년1648(인조 26)
졸년1723(경종 3)
시대조선중기
본관동래(東萊)
활동분야왕실 > 부마
정치화(鄭致和)
생부정태화(鄭太和)
숙정공주(淑靜公主)
저서『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
저서『한거만록(閑居漫錄)』

[상세내용]

정재륜(鄭載崙)
1648년(인조 26)∼1723년(경종 3). 조선 효종의 부마.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수원(秀遠), 호는 죽헌(竹軒).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아들이며, 좌의정 정치화(鄭致和)에게 입양되었다.

1656년(효종 7) 효종의 넷째딸 숙정공주(淑靜公主)와 혼인하여 동평위(東平尉)가 되었다.

숙정공주가 일찍 죽고, 1681년(숙종 7) 독자이던 정효선(鄭孝先)이 요절하자 재취할 것을 상소하여 왕의 허락을 받았으나, 대간의 반대로 이루지 못하였다.

이때부터 부마들은 재취할 수 없다는 법규가 정하여졌다.

1670년(현종 11) 사은정사로, 1705년에는 동지정사로, 1711년에는 동지 겸 사은정사청나라에 세 차례나 다녀왔다.

1716년 『열성지장통기(列聖誌狀通記)』를 증보, 간행하였다.

또한, 저서로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한거만록(閑居漫錄)』 등 수필형식의 기록이 있다.

기국(器局)이 준위(俊偉)하고 생활이 검소하여 모두 왕의 사위인 줄을 몰랐다고 한다. 시호는 익효(翼孝)이다.

[참고문헌]

孝宗實錄
顯宗實錄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正祖實錄
燃藜室記述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성명 : "정재륜(鄭載崙)"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駙馬東平尉鄭載崙翼孝公生一男一女○東萊人父左議政致和生父領議政翼憲公太和
紀年便攷v3下嫁東平尉鄭載崙
紀年便攷v25上之壻鄭載崙
紀年便攷v27東平尉鄭載崙上䟽援班城尉姜子順何城尉鄭顯祖例乞再娶上許之因臺臣言遂寢其命仍定毋得再娶之法
紀年便攷v28鄭載崙以太和子為仲父致和后仁祖戊子生尚孝宗淑靜公主封東平尉字秀遠號竹軒所著有日継錄景宗癸卯卒年七十六英祖朝
紀年便攷v28鄭載崙
國朝捷錄v01淑靜公主東平尉鄭載崙林塘玄孫作遣閑錄南崗漫錄等書
郯述v01顯宗十一年正使東平尉鄭載崙副右參贊李元禎書狀掌樂正趙世煥
郯述v01正使東平尉鄭載崙副使禮判黃欽書狀掌令南廸明
郯述v01正使東平尉鄭載崙副使禮判朴權書狀司藝洪禹寧
郯述v01肅宗四十一年正使東平尉鄭載崙副使禮判李光佐書狀掌令尹陽來
冠禮謄錄李益壽忠勳府韓城君李基 夏海城君吳時亮儀賓府東平尉鄭載崙海昌尉吳泰周 敦寧府領敦寧府事金柱臣同知敦寧府事金
肅宗大王國恤謄錄n1-1책李同爲 八侍 小斂時進定 一院相口傳達曰卽者東平尉鄭載崙等來言承令奉 審大行御牀則玉體雖無大段浮氣日熱如此
璿源譜略校正廳儀軌文重判敦寧府 事崔錫鼎左議政李世白右議政申琓東平尉鄭載崙海昌尉吳泰周 錦平尉朴弼成工曹判書申汝哲行司直吳始
國朝人物志v1鄭載崙
國朝人物志v3夏鎭子以進士上疏言金春澤李頤命不利於東宮上震怒鞫問杖斃景宗辛丑贈持平東平尉鄭載崙曰己巳朴泰輔親鞫時大臣臺官無一人苦口力爭者吾以是每爲午人恨之及丙戌之親鞫李潛也吾
國朝人物志v3字文甫號醉隱平山人縣令從謹之孫戊午生員肅宗癸亥文科家世寒微東平尉鄭載崙知其有才勸令爲文以策屢鳴場屋遂擢第戊寅以結城縣監上疏請復端宗位號曰時移事往丘壟已平蓬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6-07효종실록 17권, 1656년 8월 29일 기사를 참고하여 숙정공주를 숙종의 5번째 딸에서 4번째 딸로 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