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두경(鄭斗卿)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B450ACBDB1597X0
자(字)군평(君平)
호(號)동명(東溟)
생년1597(선조 30)
졸년1673(현종 14)
시대조선중기
본관온양(溫陽)
활동분야문학 > 문인
정회(鄭晦)
광주정씨(光州鄭氏)
조부정지승(鄭之升)
증조부정담(鄭䃫)
외조부정이주(鄭以周)
저서『동명집』

[상세내용]

정두경(鄭斗卿)
1597년(선조 30)∼1673년(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인‧학자.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군평(君平), 호는 동명(東溟).

부친은 호조좌랑을 지낸 정회(鄭晦)이며, 모친은 광주정씨(光州鄭氏)사헌부장령 정이주(鄭以周)의 딸이다.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이다.

할아버지 정지승(鄭之升)과 증조부 정담(鄭䃫), 종증조부 정염(鄭𥖝)정작(鄭碏)은 모두 시인으로 이름이 났다.

14세 때 별시 초선(初選)에 합격하여 문명을 떨쳤다.

1626년(인조 4) 문학으로 이름있는 중국의 사신이 왔을 때 그는 벼슬없는 선비로서 부름을 받아 김류(金瑬) 등과 함께 중국 사신을 접대하였다.

1629년 별시문과에 장원, 부수찬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이때 북방의 호족(胡族)인 청나라가 강성하여지자 「완급론(緩急論)」을 지어 무비(武備)의 급함을 강조하였다.

병자호란 때 척화‧강화의 양론이 분분하자, 그는 10조(條)의 소를 올려 대책을 강조하고, 또 「어적십난(禦敵十難)」이라는 글을 지어 올렸으나 조정에서 채택하지 않았다.

그뒤 여러 차례 벼슬을 내렸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고 「법편(法篇)」‧「징편(懲篇)」 등 2편의 풍시(諷詩)를 지었다.

효종이 즉위하자 임금이 하여야 할 절실한 도리를 27편의 풍시로 지어올려 효종으로부터 호피(虎皮)를 하사받았다.

그뒤 1656년(효종 7)에 「칠조소(七條疏)」와 「원이설(原理說)」을 지어 올렸다.

1669년(현종 10) 홍문관제학을 거쳐 예조참판공조참판승문원제조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노병으로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이조판서대제학을 추증하였다.

저서로는 『동명집』 26권이 있다.

[참고문헌]

國朝人物考

[집필자]

조준하(趙駿河)
대표명정두경(鄭斗卿)
두경(斗卿)
성명정두경(鄭斗卿)
군평(君平)
동명(東溟)

성명 : "정두경(鄭斗卿)"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9遠接使大提學金瑬從事官鄭弘溟鄭百昌白衣從事鄭斗卿
國朝編年v20寧遠衛洋中渰死蓋以水路不便故也山海軍門請改我國登州路從寧遠登陸以海路之險我國使臣多有渰沒之患○別試取鄭斗卿等二十五人庭試取李尙質等五人
紀年便攷v21李尙質完原君成宗子五世孫文縣監塡子鄭曄壻宣祖丁酉生字子文號家洲文章與鄭斗卿齊名仁祖己巳以副率魁庭試選湖堂歷銓郞官止校理爭元宗追崇之非禮被竄乙亥放還道卒年三十九
紀年便攷v23鄭斗卿順朋玄孫之升孫縣監晦號撫松堂子宣祖丁酉生字君平號東溟文章奇拔嘗以白衣爲儐使從事仁祖己巳魁別試與兄翼卿
紀年便攷v24脅林慶業入東江明年又脅李時英將入錦州有後上疏請函慶業頭請命皇朝具奏羈縻本末孝宗朝因李敬輿薦拜官不就挽鄭斗卿詩曰文章奇氣逼西京宇宙狂歌擅大名末路誰知任孝伯人間今哭鄭君平顯宗癸丑卒年七十三以孝行及丙子斥和特贈吏
紀年便攷v25其意蓋其凶謀幾覆宗國而賴聖上沈機睿斷竟得無事然人心益以駭憤爭相齽齘請金自點加律定配云云遂命遠竄○校理鄭斗卿上疏進詩諷二十篇上優答賜皐比○淑陵參奉陳翊聖請設贇科贇科文武備具之謂也下廟堂議廟堂以爲不可遂寢之○忠
紀年便攷v25花園一星山人擎夏子光海庚戌生字叔珍號壽峴仁祖丁卯十八進士甲戌登別試官止校書校理本以開城中村人詩名膾炙鄭斗卿許穆皆推重以刑佐出守橫城坐文網謫金海尋放孝宗朝撰追五經黽鑑上嘉之賜易經及虎皮
記聞v1遠接使大提學金瑬從事官鄭弘溟鄭百昌鄭斗卿亦以白衣從事
歷代帝王紀年v01鄭斗卿君平東溟崔山斗子仰新齋鄭之升天遊齋
國朝捷錄v01時三昌專權公作詩曰宮柳靑靑鶯亂啼以此誣陷習齋擘侄判書摘高祖判書導高祖韐之弟張維持國谿谷任叔英茂叔疎庵鄭斗卿君平東溟光州鄭以周外孫百朋玄孫順朋旁孫文參判溫陽人萬始五代祖民始五代祖翼卿晦子礥曾孫李植汝固澤堂金錫
郯述v04鄭斗卿
仁祖大王實錄纂修廳儀軌諫趙贇 吏曹正郞洪命夏 副司直趙復陽 弘文館副修撰鄭斗卿 一房堂上 戶曹判書李基祚 行承政院都承旨申濡 兵
仁祖大王實錄纂修廳儀軌月初七日 實錄廳 啓曰都廳郞廳預聞筆削爲任極重修撰鄭斗卿文才鳴 世故不計名位高下特爲 啓差意非偶然而自初至
仁祖大王實錄纂修廳儀軌 庚寅十一月初一日 實錄廳 啓曰都廳郞廳鄭斗卿趙復陽三房郞廳李杭竝爲罷職 依事目付軍職冠帶仍仕何
果川縣邑誌(京畿道)雀江頭延平府院君亭子 明月亭在縣北二十里露梁故參判鄭斗卿
靑邱風雲v1翠子李志賤號沙浦字彈琴張顯光號旅軒鄭□...□□...□愚□...□柳根號西坰金誠一號鶴峯權韠號石洲鄭斗卿號東溟李志遠號聽蟬洪可臣號晚全朴東說號南郭鄭重繼號守夢許葑號荷谷許荿號草堂洪迪號荷衣
國朝人物志v2字景贇號耐菴溫陽人判官磁子順朋從孫丁卯進士己丑文科正郞東溟鄭斗卿作文集序人物考鄭姬龍字景霖溫陽人縣監守綱孫明宗戊午進士壬戌文科牧使
國朝人物志v3字大賚義城人齊閔從孫甲子進士文科官至持平鄭斗卿作碣銘上同
國朝人物志v3丹陽遯山下晨起整服危坐題詩曰天地幾時盡無涯還有涯江城一甲子飄忽劇春花寫擧憑几而終東溟鄭斗卿稱其文章雄渾淸爽洗我朝三百年陋習本朝忠義諸臣傳
國朝人物志v3朝著淸明浦渚趙翼薦之拜大司成敏一慨然以敎訓成就爲己任卒于官年七十五有八男東溟鄭斗卿以詩挽曰才子高陽里門徒太學生儒林相與弔誰繼大司成時以爲知言男恦見上□懷文科留守
國朝人物志v3名纘洪詣鄭斗卿門學楚辭遂不復力學間從奕者遊盡其技一時推爲國手先是宗室德源君以神奕稱時有尹弘任者亦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