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상덕(林象德)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84C0C1B355B1683X0
자(字)이호(彛好)
호(號)노촌(老村)
생년1683(숙종 9)
졸년1719(숙종 45)
시대조선중기
본관나주(羅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임세온(林世溫)
생부임세공(林世恭)
저서『동사회강(東史會綱)』
저서『노촌집』

[상세내용]

임상덕(林象德)
1683년(숙종 9)∼1719년(숙종 4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윤보(潤甫)이호(彛好), 호는 노촌(老村).

부친은 도사 임세공(林世恭)이며, 모친은 이형생(李逈生)의 딸이다. 큰아버지 임세온(林世溫)에게 입양되었으며,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릴 때부터 가까운 집안인 임영(林泳)의 학문의 영향을 받았다.

1705년(숙종 31) 증광문과에 갑과로 장원, 문학‧수찬을 거쳐 1709년 남평현감(南平縣監)이 되었다가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710년 이조정랑으로 사서를 겸하였으나 사직되었다가 다시 취임하였다. 뒤에 호당(湖堂) 응제(應製)에 수석하여 초모(貂帽)를 하사받았다. 홍문관교리를 거쳐 진산군수능주목사(綾州牧使) 등을 역임, 대사간에 올랐으나 37세에 병사하였다.

경세(經世)의 뜻을 품고 당시의 제도와 시책들을 경장(更張)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여 많은 건의책을 내놓았으며,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성리학연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또한, 우리나라 역사에 관심을 기울여 많은 연구 업적을 남겼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김응상(金應祥) 등이 있다.

저서로는 『동사회강(東史會綱)』『노촌집』이 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老村集

[집필자]

박석무(朴錫武)

성명 : "임상덕(林象德)"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三官記v2林象德字潤甫後改彝好判書墰曾孫其翁都事公世恭有少論名不至已甚以其子有俊才一日來見余屬以同接蓋金兄礪於潤甫爲
小華龜鑑v15道一參判洪塾字承基應敎蔡彭胤字仲耆參判李海朝字子東號鳴岩靑湖一相子監司李肇字子始參判李縡見英宗文衡錄林象德字潤甫又彝好號老村校理任守榦字用汝承旨洪萬邁邁似遇字季會吏佐
寒臯觀外史v56諌澤字光仲号雲谷韓山人官副學秉常字汝五号三山韓山人官吏判思喆字明叔号石谷平山人官領樞啓廸見上中洪禹瑞林象德李 澤李秉常申思喆洪啓廸尹鳯朝字陽叔号圃岩坡平人官判敦龜河字聖徴昌原人官戶判在魯字仲禮号虛舟齋清風人
國朝捷錄v01科右閔黯選己巳柳世鳴當在閔昌道次成龍曾孫校理字爾能元履子李海朝子東一相子鳴岩監司李縡見文庚申生壬午科林象德羅州人老村世泰子校理字潤甫判書墰曾孫金礪妻甥李肇號鶴山子始漢翼子尙質曾孫吏判金州人任守榦用譽號遯窩相
郯述v02林象德
三松齋實記一昔聞陶處士今見崔先生德兼純孝字早世謝簪 纓右錦城林象德閭名留鼎雀其孝蓋天生從學能傳鉢潔身早濯 纓右牛峯李
靑邱風雲v1李縡號寒泉李肇字子始吏判林象德字國輔校理洪萬遇校理任守幹承旨李海朝字子東一相之子監司右選上同
東國續修文獻錄v1李縡煕卿陶菴進士昌晩子牛峯人參贊文衡文正李肇子始鶴山進士漢翊子全州人吏判林象德潤甫老村察訪世溫子羅州人校理洪萬遇季會監司柱三子豐山人舍人任守榦用譽遯窩判書相元子豐川人承旨李海朝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