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경섬(慶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CBDC12CFFFFB1562X0
자(字)퇴부(退夫)
호(號)삼휴자(三休子)
호(號)석촌(石村)
호(號)칠송(七松)
생년1562(명종 17)
졸년1620(광해군 12)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주(淸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경시성(慶時成)

[상세내용]

경섬(慶暹)
1562년(명종 17)∼1620년(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퇴부(退夫), 호는 삼휴자(三休子)석촌(石村)칠송(七松).

부친은 경시성(慶時成)이다.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594년 홍문관정자를 제수받았고, 1598년 진주사(陳奏使)정사(正使)최천건(崔天健)을 따라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사헌부지평장령사간원헌납 등을 역임했다.

1601년 남원부사가 되고, 1607년 홍문관교리로서 통신사 여우길(呂祐吉)과 함께 통신부사가 되어 임진왜란 후 첫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왔다.

1618년(광해군 10) 호조참판이 되고, 이듬해 장례원행판결사(掌隷院行判決事)가 되었다. 학문이 뛰어나 삼사의 요직을 두루 거치고 부제학호조참판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집필자]

이정일(李貞一)

성명 : "경섬(慶暹)"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倭關白源家康盡滅平氏屢遣使求和遣呂祐吉慶暹丁好寬報聘自是復通和好
國朝編年v16丁未四十年大明萬曆三十五年春正月日本又請使甚懇遣通信使僉知呂祐吉校理慶暹爲副使佐郞丁好寬差書狀官後以通信爲嫌改稱回答使書狀改稱從事官○對馬島土薄民窮專以貢船賞賜轉販資生而壬
國朝編年v18左相鄭仁弘右相韓孝純閔夢龍禮判李爾瞻贊成李沖戶判崔瓘大司憲南瑾同春秋李慶全參判曺倬尹壽民李德泂朴自興慶暹參議鄭岦李命男鄭逵副提學鄭造大司諫尹訒等議上節目未下蓋以許渴等方有加論故也○同副承旨李偉卿領相鄭仁弘
國朝編年v18會議左相鄭仁弘韓孝純閔夢龍禮判李爾瞻贊成李冲戶判崔瓘大司憲南瑾同春秋李慶全參判曺偉尹壽民李德泂朴自興慶暹參議鄭岦李命男鄭逵造尹訒等議上節目未下蓋以許渴等方有加論故也
紀年便攷v18慶暹渾孫獻納時成子李綏祿妹夫字退甫一作夫號石村又三休子宣祖庚寅生員同年登增廣厯三司提學丁未為通信使倭人以
紀年便攷v18慶暹
紀年便攷v18呂祐吉咸陽人稱八世孫蔭僉樞順元子字>尚夫號痴溪宣祖庚寅進士辛卯登别試官止通政監司丁未以通信使赴日本與慶暹丁好寬同徃兄弟文科兄裕吉孫聖齊見下兄裕吉字德夫號春江成渾門人宣祖庚辰登謁聖官止右尹年六十二遭喪哀毀未
寒臯觀外史v24責之斬其倭於祐吉字尙夫號□溪咸陽人官海伯暹字退夫號石村清州人官副季好寛字希栗押海人官府使市遂遣呂祐吉慶暹丁好寛䓁報之和遂成右荷潭破寂□
郯述v04慶 暹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