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원균(元均)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6D0ADE0FFFFB1540X0
생년1540(중종 35)
졸년1597(선조 30)
시대조선전기
본관원주(原州)
활동분야무신 > 무신
원준량(元俊良)
공신호통합삼한공신(統合三韓功臣)
공신호선무공신(宣武功臣)

[상세내용]

원균(元均)
1540년(중종 35)∼1597년(선조 30). 조선 전기의 무신. 자는 평중(平仲). 본관은 원주(原州).

고려 태조 때의 통합삼한공신(統合三韓功臣) 병부령 원극유(元克猷)의 후손이다. 부는 원준량(元俊良)이다.

1567년(선조 즉위년) 정묘 식년시(式年試) 무과 을과 2위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조산만호(造山萬戶)로 있을 때 변방의 오랑캐를 무찌르는 데 공이 컸으므로, 부령부사로 특진되었다가 다시 종성으로 옮겨 병사 이일(李鎰)을 따라 시전부락(時錢部落)을 격파하는 데도 공을 세웠으며, 1592년(선조 25)에는 경상우수사가 되었다.

그해 4월 13일에 발발한 임진왜란은 양국간의 전쟁준비 격차로 말미암아 개전초부터 일방적인 패주의 연속이었으며, 거진(巨鎭)의 명관들은 다투어 도주하고, 백성들은 모두 산간으로 피난하여 성읍이 모두 텅 빈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 수군 제일의 요충인 경상좌수영의 군사는 수사 박홍(朴泓) 이하 전장병이 도주하여 싸워보지도 못하고 완전 궤멸되었으며, 우수영 관할하의 장병들도 거의 흩어져 휘하에는 약간의 장병만이 남아 있을 뿐이어서 조정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에게 원병을 요청하는 한편, 흩어진 군사를 수습하여 고군분투하였다.

몇 차례에 걸친 원병요청 끝에 마침내 이순신의 원병이 도착하자 합세하여 옥포(玉浦)당포(唐浦) 등지에서 연전연승하였다.

그러나 포상과정에서 이순신과의 공로 다툼이 심하여 불화가 발생하였는데, 급기야 1593년 8월 이순신이 신설된 삼도수군통제사직에 임명되어 지휘권을 장악하자 크게 반발하였으므로 1594년 12월 충청병사로 전출되었으며, 얼마 후에는 전라좌병사로 전속되었다.

병사로 재직중에도 여러 차례 수군작전에 관한 계획을 조정에 건의하였으며, 조정에서도 여러 번 수사로 재기용할 것을 검토하던 중 이순신이 조정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서울로 잡혀가 국문을 받게 되자, 1597년 1월에 경상우수사 겸 경상도통제사로 임명되어 이순신을 대신하여 삼도수군을 통제하게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왜적이 조선을 정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군을 이겨야 한다는 각오 아래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대기중인 것을 모르고, 조정의 무리한 명령에 따라 삼도수군을 이끌고 부산의 적을 공격하던 중 칠천량해전(漆川梁海戰)에서 대패하여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충청수사 최호(崔湖) 등과 함께 최후를 마쳤다.

1604년 이순신권율(權慄)과 함께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으로 책록되어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되고 원릉군(原陵君)에 추봉되었다.

1605년 왕이 내린 치제문과 숙종 때의 대사헌 김간(金幹)이 찬한 「통제사원균증좌찬성공행장(統制使元均贈左贊成公行狀)」이 있다.

그러나 후일 이순신이 민족의 영웅으로 각광을 받은 것과는 달리 대표적인 겁장이로 기록되어오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光海君日記
亂中日記(李舜臣)
壬辰狀草(李舜臣)
懲毖錄(柳成龍)
龍蛇日記(李魯)
亂中雜錄(趙慶男)
春坡堂日月錄(李星齡)
韓國水軍活動史(崔碩男, 鳴洋社, 1965)
壬辰戰亂史(李炯錫, 新現實社, 1974)
元均論(李貞一, 歷史學報 89, 1981)

[집필자]

이정일(李貞一)
대표명원균(元均)
균(均)
봉호원릉군(原陵君)
성명원균(元均)
평중(平仲)

성명 : "원균(元均)"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元均代李舜臣爲統制使遇賊敗死水使李億祺崔湖等皆死
國朝編年v14年木綿至貴一疋直米三四十斗無藏貨不能糶軍粮然飢民始得蘇活酒食爲樂○冬十二月初三日三暘東出白虹貫日○以元均爲忠淸兵使以裴楔爲慶尙右水使○別試取趙庭堅等三人○別試取成以敏等十五人
國朝編年v15役月餘粗完○對擧科取趙重寅等十九人○重試取許筠等五人○庭試取李好義等九人○統制使李舜臣被拿以全羅水使元均代之賊將淸正等畏我國舟師尤忌李舜臣欲縱反間以去之行長使要時羅前已往來金應瑞陣致慇懃方淸正再出也時羅又
國朝編年v16議卽稟旨改定今者言官又請分錄其中削去者二十七人追錄鄭運等亦當竝削然則征倭武將所存者只李舜臣權慄高彦伯元均四人而已如權應銖之於永川有收復之功李億祺之於舟師趙儆之於幸州有勝捷之功金時敏李光岳之於晉州李廷馣之於
紀年便攷v14賊連陷諸鎮舟師向加徳慶尙右水使元均請援於舜臣舜臣乃領八十餘艘會均於閒山島過賊于玉浦督戰焚其船二十六海波盡蕩賊散走復戰于露梁追至泗川洋焚
紀年便攷v16元均
紀年便攷v16元均原州人兵使俊良子中宗庚子生字平仲登武科為人罔多而無謀慾勝而㤀義宣祖壬辰賊連䧟諸陣引舟師向加德均以慶尙
紀年便攷v17登武科歴鉢浦造山两萬戶乾原堡權管井邑縣監珍島郡守以加里浦僉使陞拜全羅左水使壬辰領水軍下海與慶尙右水使元均會于閑山島與倭戰大捷進嘉善階至露梁以新造龜船破賊以已意剏造龜船其制船上鋪板如龜背上有十字細路客我人通
紀年便攷v17向披靡以此常勝連進資憲正憲階每戰勝戒諸將曰狃勝必驕諸將慎之癸巳拜統制使丁酉清正再渡海朝廷以不能逆擊使元均代為上將及舜臣對獄 上原之以白衣送元帥陣中使之戴罪自效未幾均敗起復舜臣為銃制使將士雲集軍聲復振戊戌進
紀年便攷v17即傳布 上旨又巡間各鎮宣布 聖旨是年冬守寳城李舜臣甚器之或為代將或爲先鋒攻守之㓛多出其䇿丁酉倭奴再舉元均為統制使弘國以中軍將領舟師三十餘艘直擣巢穴賊選精兵直前諸鎮皆走或曰彼衆我寡願少退弘國曰不可見賊而退决
宣廟中興誌v1武士白光彦慷慨有膂力馳見洸露刃叱之洸流涕謝罪與權慓白光彦同下全州以圖再擧倭人向巨濟慶尙右水使元均棄營走元均聞賊至馳至白川寺望見我人漁船認見賊艘蒼黃奔走南海縣令奇孝謹亦焚倉庫而逃玄風人郭再祐起兵
野乘v1七月統制使元均敗走死
國朝捷錄v01全羅水使拜統制使大破倭冠於閑山島中流丸卒追封貞子權慓永嘉君以全監大捷辛州升元帥莊烈公都元帥號晩翠轍子元均石陵君與舜臣協力擊倭代爲統制戰死追封統制使俊良子二等五人申點平城君以奏請使如京多貿角弓焰炒而來文判中
湖南節義錄v1月賊再擧渡海朝廷告急于天朝二月天將經略邢玠大將麻貴領諸將東援大破賊兵於稷山七月賊船至永登浦統制使元均全羅右水使李億祺等戰敗死之八月賊自晉州踰宿星嶺進圍南原天將楊元先遁接伴使鄭期遠全羅兵使李福男府使
郯述v03元 均
郯述v03 與元均同死光山
韓史綮v1而薦之○全羅左水使李舜臣大破日本兵于巨濟之前洋時平秀吉旣遣陸兵又繼發水軍陸續而進連陷諸鎭慶尙右水使元均請援于舜臣先是舜臣策日本必爲患自製戰船其制船上鋪板狀如龜背八而有穴容兵器左右設棹各十二板上列揷錐
韓史綮v1今已陸矣景瑞又以聞王謂舜臣逗遛失軍機怒而逮之李元翼奏解之不聽舜臣旣至京王遣御史南以信按驗南卽元均之姻親也均素以屬舜臣管下怏怏不平使南羅織以報王將鞫舜臣殺之李億祺馳書於金命元李恒福備陳
韓史綮v1經瑆兵部尙書邢玠爲總督總兵麻貴爲提督率兵來援鎬住平壤貴住漢城使楊元吳惟忠等諸將分路南下以禦賊○元均悉變李舜臣約來日事醉□刑罰無度士卒怨憤秋九月平行長又使要時羅紿金景瑞曰日本兵某日當添至可以邀擊
東國續修文獻錄v1李舜臣德豐府院君中流丸卒忠武公權慄永嘉府院君都元帥忠莊公元均石陵君統制使擊賊而死
國朝人物志v2用事者以爲誤事舜臣以罪去元翼啓曰此人得罪大事去矣上問於元翼元翼復極言之未及上元均來代之非上意也均果敗亡上復用舜臣元翼至閑山計事登臨望海大饗軍士軍士踊躍思奮
國朝人物志v2齡鄭彥信薦億祺申砬金時敏遂以億祺爲順天府使旋陞右水使綜理軍務左水使元均擁兵逗擾倭賊至固城億祺鏖戰遂得大捷奏至行在上嘉奬之進階嘉善三道舟師無所統轄乃
國朝人物志v2掌親兵以自衛倭之再搶也遍沿海而順天爲要衝上難其人問左右僉曰應鼎可也遂受命到府聞元均閑山之師已沒倭來益衆知事不濟乃與兵使李福男同趨南原爲遏寇計旣而弟應台奉命至謂曰
國朝人物志v2各鎭宣布聖旨是年冬守寶城李舜臣甚器之或爲代將或爲先鋒攻守之功多出其策丁酉倭奴再擧元均爲統制使弘國以中軍將領舟師三十餘艘直擣巢穴賊選精兵直前諸鎭皆走或曰彼衆我寡願少退弘國
國朝人物志v2國鄭彥信巡察權慄且與統制李舜臣同事興立臨陣意氣自若飛丸中冑冑碎亦不撓漆川之戰元均臨陣誤機遁興立以單船直前枝梧閑山島之役九戰九捷皆先登與珍島賊遌先登大捷于幸州領
國朝人物志v2礪山人甲午武科壬辰隷李舜臣幕閑山之戰持狀啓夜行晝伏得達行在上嘉之除鹿島萬戶丁酉元均敗舟師盡覆汝悰船獨完碧波之戰汝悰爲上功戊戌戰于鹿島前洋擧帆直前廝殺無遺舜臣
國朝人物志v2載寧人武科統制使壬辰爲玉浦萬戶倭發難嶺南先潰水使元均欲棄船遁雲龍抗言曰此地乃兩湖要衝無此地則無兩湖也今吾衆雖弊猶可保聚湖南水軍完可請濟
國朝人物志v2典相臣鄭琢言舜臣名將宜赦罪責效朝廷從之使從軍時舜臣母歿成喪卽行曰吾一心忠孝到此俱喪元均代舜臣爲統制使酣飮不省事捶楚殘虐一軍離心倭乘夜掩擊軍遂潰元均走死閑山遂陷復以
國朝人物志v2勉吾安東人悌甲侄評事忠甲之子少落拓不學及長壯偉魁傑登武科壬辰爲晉州判官水使元均退走諸將欲棄城去時敏令軍中曰敢言去者斬收境內士民入城編行伍誓以死守時敏欲襲擊固城屯
國朝人物志v3忠報國四字以自誓出補海南縣監漢陰李德馨曰此人治人治兵無所不可當與一節鎭閑山師潰元均敗死珩聞之痛哭曰失舟師則失兩湖國事無可爲者遂沬血誓師與統制使李舜臣收餘燼抱海口迎擊泗
二十功臣會盟錄n1책朴楗嫡長孫展力副尉行 忠佐衛副司勇臣朴昱 宣武功臣元均長孫展力副尉行忠 佐衛副司勇臣元怭 扈聖功臣辛大容
二十一功臣會盟錄n1책臣吳時益 扈聖功臣全龍嫡長孫學生臣全斗旻 宣武功臣元均長孫學生臣元震瑞 宣武功臣李億祺嫡長孫學生臣李廷夏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12-10무과방목을 참고하여 자와 부를 추가하였습니다. 무과 내용도 정확하게 수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