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걸(白宗杰)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31C885AC78B1800X0 |
자(字) | 긍첨(兢瞻) |
호(號) | 지산(止山) |
생년 | 1800(정조 24) |
졸년 | 1876(고종 13)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수원(水原)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백경해(白慶楷) |
외조부 | 윤득서(尹得瑞) |
저서 | 『지산문집』 |

[상세내용]
백종걸(白宗杰)
1800년(정조 24)∼1876년(고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긍첨(兢瞻), 호는 지산(止山).
한성부좌윤 백경해(白慶楷)의 아들이며, 모친은 파평윤씨로 통덕랑(通德郞) 윤득서(尹得瑞)의 딸이다. 김익환(金益煥)에게 수학하였다.
1831년(순조 31) 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의정부사록(議政府司錄)에 임명되었고, 1835년(헌종 1) 출륙(出六)되어 전적(典籍)에 승진되었다.
그뒤 예조정랑‧사직서영(社稷署令)‧지평(持平)‧병조정랑 등을 거쳐 1839년 문천군수(文川郡守)가 되었다.
1846년 내직(內職)으로 돌아와 다시 병조정랑 등을 거쳐 1855년(철종 6) 통례원좌통례(通禮院左通禮)가 되었고, 1861년 통정대부에 승자(陞資)되어 부호군이 되고 병조참지를 거쳐 병조참의에 승진되었다.
1868년(고종 5) 우부승지가 되었다가 사직, 고향으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시문에도 능하였으며, 저서로는 『지산문집』이 있다.
한성부좌윤 백경해(白慶楷)의 아들이며, 모친은 파평윤씨로 통덕랑(通德郞) 윤득서(尹得瑞)의 딸이다. 김익환(金益煥)에게 수학하였다.
1831년(순조 31) 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의정부사록(議政府司錄)에 임명되었고, 1835년(헌종 1) 출륙(出六)되어 전적(典籍)에 승진되었다.
그뒤 예조정랑‧사직서영(社稷署令)‧지평(持平)‧병조정랑 등을 거쳐 1839년 문천군수(文川郡守)가 되었다.
1846년 내직(內職)으로 돌아와 다시 병조정랑 등을 거쳐 1855년(철종 6) 통례원좌통례(通禮院左通禮)가 되었고, 1861년 통정대부에 승자(陞資)되어 부호군이 되고 병조참지를 거쳐 병조참의에 승진되었다.
1868년(고종 5) 우부승지가 되었다가 사직, 고향으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시문에도 능하였으며, 저서로는 『지산문집』이 있다.
[참고문헌]
止山文集
[집필자]
이민식(李民植)
대표명 | 백종걸(白宗杰) |
성명 | 백종걸(白宗杰) |
성명 : "백종걸(白宗杰)"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