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범휴(柳範休)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0BC94D734B1744X0 |
자(字) | 천서(天瑞) |
호(號) | 호곡(壺谷) |
생년 | 1744(영조 20) |
졸년 | 1823(순조 23)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유도원(柳道源) |
조부 | 유승현(柳升鉉) |
처부 | 김강한(金江漢) |
외조부 | 김경온(金景溫) |
저서 | 『반촌문답(泮村問答)』 |

[상세내용]
유범휴(柳範休)
1744년(영조 20)∼1823년(순조 23).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천서(天瑞), 호는 호곡(壺谷).
조부는 공조참의 유승현(柳升鉉)이고 부친은 유도원(柳道源)이며 모친은 김경온(金景溫)의 딸이다. 1760년(영조 36) 김강한(金江漢)의 사위가 되어 학문적 영향을 받았으며 1772년(영조 48) 이상정(李象靖)의 문하에 들어갔다. 1780년(정조 4)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에 생원(生員) 2등 18위로 합격하였고 1785년(정조 9) 천거로 태릉참봉(泰陵慘奉)에 임명되었다. 1787년(정조 11) 사옹원봉사, 약방제조를 거쳐 다음해 평시서직장에 임명되었다. 이후 의금부도사, 송화현감, 장악원주부, 사도시첨정을 거쳐 1795년(정조 19)에는 고성군수(高城郡守)로 부임했고 1797년 안변부사(安邊府使)로 부임했다가 2년 만에 사직했다. 저서로 『반촌문답(泮村問答)』, 『사문간독(師門簡牘)』, 『호곡집(壺谷集)』이 있다.
조부는 공조참의 유승현(柳升鉉)이고 부친은 유도원(柳道源)이며 모친은 김경온(金景溫)의 딸이다. 1760년(영조 36) 김강한(金江漢)의 사위가 되어 학문적 영향을 받았으며 1772년(영조 48) 이상정(李象靖)의 문하에 들어갔다. 1780년(정조 4)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에 생원(生員) 2등 18위로 합격하였고 1785년(정조 9) 천거로 태릉참봉(泰陵慘奉)에 임명되었다. 1787년(정조 11) 사옹원봉사, 약방제조를 거쳐 다음해 평시서직장에 임명되었다. 이후 의금부도사, 송화현감, 장악원주부, 사도시첨정을 거쳐 1795년(정조 19)에는 고성군수(高城郡守)로 부임했고 1797년 안변부사(安邊府使)로 부임했다가 2년 만에 사직했다. 저서로 『반촌문답(泮村問答)』, 『사문간독(師門簡牘)』, 『호곡집(壺谷集)』이 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朝鮮人名辭書
朝鮮人名辭書
[집필자]
김은영
대표명 | 유범휴(柳範休) |
성명 | 유범휴(柳範休) |
성명 : "유범휴(柳範休)"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