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세택(李世澤)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138D0DDB1716X0
자(字)맹윤(孟潤)
호(號)조은(釣隱)
생년1716(숙종 42)
졸년1777(정조 1)
시대조선후기
본관진성(眞城)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수항(李守恒)
출신지예안
저서『조은유고』

[상세내용]

이세택(李世澤)
1716년(숙종 42)∼1777년(정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맹윤(孟潤), 호는 조은(釣隱). 예안 출신. 이황(李滉)의 8대손이며, 감역 이수항(李守恒)의 아들이다.

진사시에 합격한 뒤 1753년(영조 29) 정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하였다. 검열교리를 거쳐 1762년에 우부승지에 오르고 그 이듬해 대사간이 되었다. 대사간을 제수받았을 때, 신임사화의 죄인인 이광사(李匡師)를 정계(停啓)하지 않았다 하여 삼사 모두가 유배당하였다.

도승지 홍명한(洪名漢), 병조판서 이지억(李之億) 등이 임금의 뜻에 따라 정계에 응할 것을 권하였으나 끝내 따르지 않았다. 이에 채제공(蔡濟恭)이 서찰을 내어 그가 정계에 응하지 않았음을 칭찬하였다 한다.

1768년 인동부사로 있을 적에 살옥(殺獄)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였다고 탄핵을 받고 단양에 유배되었는데, 이때부터 시파(時派)로서 벽파(僻派)의 탄압을 받았다.

그뒤 정조가 즉위하자, 대사헌이 되어 벽파 정후겸(鄭厚謙) 등을 규탄하여 죄상을 밝혔고, 이어 『명의록(明義錄)』을 편찬할 때에 찬집당상이 되었다.

시문집으로 『조은유고』가 전한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釣隱遺稿
國朝榜目

[집필자]

전형택(全炯澤)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