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문경호(文景虎)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B38ACBDD638B1556X0
호(號)역양(嶧陽)
생년?(미상)
졸년1620(광해군 12)
시대조선중기
본관남평(南平)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저서『역양집』

[상세내용]

문경호(文景虎)
미상∼1620년(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호는 역양(嶧陽). 정인홍(鄭仁弘)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또한 대북파인 정인홍을 위하여 1601년 생원으로서 소를 올려 처사 최영경(崔永慶)의 죽음에 정철(鄭澈)성혼(成渾)이 주동이 되었다 하여 그들을 논척하였다.

이듬해 송라찰방(松羅察訪)이 되었고, 1615년(광해군 7) 김천찰방(金泉察訪)으로서 당시 대북파들의 횡행과 왕의 실책이 두드러지기 시작하자, 이를 비판하던 정온(鄭蘊) 등의 편에 서서 활동하다가 원래 정인홍의 문인인 그가 스승을 배반하였다는 죄로 삭탈관직당하였다.

저서로 『역양집』이 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顯宗實錄
號譜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대표명문경호(文景虎)
경호(景虎)
성명문경호(文景虎)

명 : "경호(景虎)"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5所以搆渾無所不至至丁酉使其黨玄風朴惺者上疏追詆李珥成渾而時無一人倡和者其計遂寢不行矣至是仁弘又嗾門徒景虎上疏誣詆謂永慶之死皆由於成渾用事者乘時益肆齕以奸黨遺君構成罪案爲網打士林之計竟至追奪
國朝編年v16章章明矣況永慶旣死之後臣父往來渾門猶舊也臣父雖病風喪心亦安有一邊往來一邊彰說竝與見絶之故而言於他人如景虎等所云者乎景虎等雖同道之人而與臣父未嘗有相識之分其意不過曰其身已死更無可辨之端立證於已死之人成罪於難
震乘總v6弟受學於趙憲與論議角立且時無繫獄之事移設統營巨濟而仁弘旣以此構虛傳播丁酉使朴惺上疏而時無和者至是又使景虎上疏構成罪案竟至成渾追奪
野乘v16厚於蘊而薄於興周乎完平日記曰察訪文景虎仁弘門人也通文於道內士人論卞鄭蘊上言被罪仁弘門人羣起攻之臺諌劾景虎削職前正言吳長山隂人也前正言姜大進陜川人也共議通文於一道論鄭蘊以忠受罪三司交章論大進以護逆請遠竄只命
大事編年v8副提學申欽校理崔尙重李顯英修撰洪遵箚略近來士習不美浮議肆行假托公論動搖朝廷揑造無形擠陷士流者前後滔滔景虎之疏亦其一轍憲府所論誠不爲過云云
大事編年v8語罪之則必失一道人心臣實不知永慶爲人如何而篤信師友之論力辨如此永慶蒙放之日卽渾在百里之外何從而與聞乎景虎輩敢肆誣罔於天日之下此不過傾陷朝廷計耳臣是渾之門生何敢仍冒言地云云
大事編年v8有朮解之言且稱其孝友則豈可以形跡稍異之故而輒指成渾搆殺哉近來以風習不淑如欲傾陷朝廷則必假草野之論今此景虎等之上疏豈在於已死朽骨哉云云○答曰崔永慶已往之事不須紛紛追論但永慶已鞫之後君旣命放而兩司論之是何意歟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