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성유(都聖兪)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3C4C131C720U9999X0 |
자(字) | 정언(廷彦) |
호(號) | 양직당(養直堂) |
생년 | 1571(선조 4) |
졸년 | 1649(인조 27)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성주(星州) |
활동분야 | 학자 > 유생 |

부 | 도원국(都元國) |
조부 | 도흠조(都欽祖) |
증조부 | 도순경(都舜卿) |
처부 | 이심해(李心海) |
외조부 | 채응귀(蔡應龜) |
저서 | 『성리정학집(性理正學集)』 |

[상세내용]
도성유(都聖兪)
1571년(선조 4)~1649년(인조 27).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정언(廷彦), 호는 양직당(養直堂).
증조부는 도순경(都舜卿)이고, 조부는 도흠조(都欽祖)이며, 부친은 병절교위(秉節校尉) 도원국(都元國)이다. 외조부는 인천채씨 훈도(訓導) 채응구(蔡應龜)이고, 처부는 광주이씨 이심해(李心海)이다.
정구(鄭逑)‧서사원(徐思遠)의 문인으로서 문장과 행실이 당대에 출중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사원을 따라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하였다.
광해군 때 정인홍(鄭仁弘)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을 비난하자, 그들의 무죄를 변호하였다.
병자호란 때는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비분하여 세상을 등지고 지내다가 일생을 마쳤다. 「오경체용합일도(五經體用合一圖)」와 「체용각분도(體用各分圖)」를 만들었다.
저서로는 『성리정학집(性理正學集)』이 있으며 대구 용호서원(龍湖書院)에 배향되었다.
증조부는 도순경(都舜卿)이고, 조부는 도흠조(都欽祖)이며, 부친은 병절교위(秉節校尉) 도원국(都元國)이다. 외조부는 인천채씨 훈도(訓導) 채응구(蔡應龜)이고, 처부는 광주이씨 이심해(李心海)이다.
정구(鄭逑)‧서사원(徐思遠)의 문인으로서 문장과 행실이 당대에 출중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사원을 따라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하였다.
광해군 때 정인홍(鄭仁弘)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을 비난하자, 그들의 무죄를 변호하였다.
병자호란 때는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비분하여 세상을 등지고 지내다가 일생을 마쳤다. 「오경체용합일도(五經體用合一圖)」와 「체용각분도(體用各分圖)」를 만들었다.
저서로는 『성리정학집(性理正學集)』이 있으며 대구 용호서원(龍湖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大邱邑誌
韓國人의 族譜(日新閣, 1977)
韓國人의 族譜(日新閣, 1977)
[집필자]
조성도(趙成都)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1-08-25 | 星州都氏大同譜를 참고하여 부를 도원결(都元結)에서 도원국(都元國)으로 수정함. 생졸년, 조, 증조, 외조, 처부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