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경흠(鄭慶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ACBDD760B1620X0
자(字)선숙(善叔)
호(號)육오당(六吾堂)
생년1620(광해군 12)
졸년1678(숙종 4)
시대조선중기
본관하동(河東)
활동분야학자 > 유생
정이중(鄭以重)
생부정이직(鄭以直)
조부정응두(鄭應斗)
저서『육오당일기』

[상세내용]

정경흠(鄭慶欽)
1620년(광해군 12)∼1678년(숙종 4). 조선 후기의 학자‧화가.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선숙(善叔), 호는 육오당(六吾堂). 영의정 정인지(鄭麟趾)의 후손으로, 정언 정응두(鄭應斗)의 손자이고, 정이직(鄭以直)의 아들이며, 모친은 태학생 이영례(李榮禮)의 딸이다. 부사 정이중(鄭以重)의 양자가 되었다. 송시열(宋時烈)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운 서인이다.

1650년(효종 1)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으나, 친아버지와 양아버지의 상을 연이어 당하였다.

1676년(숙종 2) 양아버지의 상을 치른 뒤 벼슬할 뜻을 버리고 보은에 우거하였다. 더욱이, 남인이 집권한 뒤에는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말년에는 『주역』에 심취하였고, 지행(知行)이 있다는 칭송을 들었다.

당시 권세를 장악한 사람들이 그를 끌어들이려고 여러 차례 사람을 보내어 시험하였으나 응하지 않았다. 예론(禮論)에 밝아서, 종실이면서 친척인 자가 시험삼아 기해복제(己亥服制)에 대하여 묻자, 조목조목 비판하여 그를 성나게 한 일로 유명하다.

서화에 뛰어났는데, 특히 인물‧난초‧포도‧매화‧대나무 등을 잘 그렸다. 제가의 지지‧지도 등을 참고하여 『황여도(皇輿圖)』『동여도(東輿圖)』를 편찬하였다고 하는데, 현재 『황여고실(皇輿攷實)』이 전한다.

아들 정유복(鄭維復)정유점(鄭維漸)은 포도를, 정유승(鄭維升)은 인물을 잘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저서로는 『육오당일기』가 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槿域書畵徵
震旦人物

[집필자]

정선남(鄭善男)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