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5D30CC0ACC774D0112X0 |
생년 | ?(미상) |
졸년 | 112(지마이사금 1) |
시대 | 신라 |
활동분야 | 왕실 > 왕 |

부 | 박내로(朴奈老) |
처 | 사성부인(史省夫人) |
처부 | 허루갈문왕(許婁葛文王) |
외조부 | 사요왕(辭要王) |
묘소 | 사릉원(蛇陵園) |

[상세내용]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미상∼112년(지마이사금 1). 신라 제5대 왕. 재위 80∼112년. 성은 박씨.
유리이사금의 둘째아들로 태자 일성(逸聖)보다 인물이 뛰어나 즉위하였다고도 하고, 유리이사금의 아우인 박내로(朴奈老)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모친은 사요왕(辭要王)의 딸이고 왕비는 허루갈문왕(許婁葛文王)의 딸인 사성부인(史省夫人, 혹은 史肖夫人)이다.
비계(妃系)가 김씨 한기부(漢歧部)의 유력자임은 파사이사금이 유찬(楡飡)의 못으로 사냥갔을 때 이찬 허루가 딸을 데리고 나와 춤을 추었으며, 이어 허루는 주다(酒多: 나중의 角干)가 되었음을 보아도 알 수 있다.
파사이사금이 유리이사금의 직계라면 탈해이사금 이후 왕위를 계승한 것이 문제가 없으나, 그가 내로의 아들일 경우 월성(月城)에 기반을 둔 석씨세력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 즉위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87년(파사이사금 8)에 가소성(加召城)‧마두성(馬頭城)을 쌓았으니, 이것은 경주를 벗어난 맨처음의 축성 기록이다.
94년에 가야 군사가 마두성으로 쳐들어왔을 때 1,000여명의 기병을 사용하였으니, 이미 기마전투의 양상을 볼 수 있다.
101년에 월성을 쌓아 궁실을 옮겼다.
102년에는 음집벌국(音汁伐國: 지금의 安康, 안강 南 또는 울진)과 실직곡국(悉直谷國: 지금의 三陟) 사이의 영토분쟁을 가야의 수로왕에게 부탁하여 해결해 준 뒤에 다시 음집벌국을 쳐서 병합하였다.
그러자 실직국과 압독국(押督國: 지금의 慶山)도 항복해 왔다고 한다.
108년에는 다벌국(多伐國: 지금의 大丘 혹은 義昌)과 초팔국(草八國: 지금의 草溪 혹은 杞溪)을 합병하였다.
이러한 파사이사금의 치적에 근거하여 이 왕대(王代)를 고대국가의 시초로 보기도 한다.
재위 33년에 죽자 사릉원(蛇陵園) 안에 장사 지냈다.
유리이사금의 둘째아들로 태자 일성(逸聖)보다 인물이 뛰어나 즉위하였다고도 하고, 유리이사금의 아우인 박내로(朴奈老)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모친은 사요왕(辭要王)의 딸이고 왕비는 허루갈문왕(許婁葛文王)의 딸인 사성부인(史省夫人, 혹은 史肖夫人)이다.
비계(妃系)가 김씨 한기부(漢歧部)의 유력자임은 파사이사금이 유찬(楡飡)의 못으로 사냥갔을 때 이찬 허루가 딸을 데리고 나와 춤을 추었으며, 이어 허루는 주다(酒多: 나중의 角干)가 되었음을 보아도 알 수 있다.
파사이사금이 유리이사금의 직계라면 탈해이사금 이후 왕위를 계승한 것이 문제가 없으나, 그가 내로의 아들일 경우 월성(月城)에 기반을 둔 석씨세력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 즉위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87년(파사이사금 8)에 가소성(加召城)‧마두성(馬頭城)을 쌓았으니, 이것은 경주를 벗어난 맨처음의 축성 기록이다.
94년에 가야 군사가 마두성으로 쳐들어왔을 때 1,000여명의 기병을 사용하였으니, 이미 기마전투의 양상을 볼 수 있다.
101년에 월성을 쌓아 궁실을 옮겼다.
102년에는 음집벌국(音汁伐國: 지금의 安康, 안강 南 또는 울진)과 실직곡국(悉直谷國: 지금의 三陟) 사이의 영토분쟁을 가야의 수로왕에게 부탁하여 해결해 준 뒤에 다시 음집벌국을 쳐서 병합하였다.
그러자 실직국과 압독국(押督國: 지금의 慶山)도 항복해 왔다고 한다.
108년에는 다벌국(多伐國: 지금의 大丘 혹은 義昌)과 초팔국(草八國: 지금의 草溪 혹은 杞溪)을 합병하였다.
이러한 파사이사금의 치적에 근거하여 이 왕대(王代)를 고대국가의 시초로 보기도 한다.
재위 33년에 죽자 사릉원(蛇陵園) 안에 장사 지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韓國古代社會硏究(金哲埈, 知識産業社, 1975)
新羅王位繼承硏究(李鍾旭, 嶺南大學校出版部, 1980)
三韓의 國家形成 上(千寬宇, 韓國學報 2, 1976)
三國遺事
韓國古代社會硏究(金哲埈, 知識産業社, 1975)
新羅王位繼承硏究(李鍾旭, 嶺南大學校出版部, 1980)
三韓의 國家形成 上(千寬宇, 韓國學報 2, 1976)
[집필자]
신종원(辛鍾遠)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