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고희동(高羲東)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E0D76CB3D9B1886X0
호(號)춘곡(春谷)
생년1886(고종 23)
졸년1965
시대항일기
본관제주(濟州)
활동분야미술 > 화가
고영철(高永喆)
출생지서울

[상세내용]

고희동(高羲東)
1886년∼1965년. 화가. 호는 춘곡(春谷). 본관은 제주(濟州).

한말 군수를 지낸 고영철(高永喆)의 셋째아들로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14세 때 한성법어학교(漢城法語學校)에 들어가 프랑스어를 배운 것이 계기가 되어, 1904년 궁내부주사로 취직하여 궁중 내의 프랑스어통역과 문서번역일을 하였다.

이 무렵 을사보호조약이 맺어지자 관리생활을 버리고 현실도피책으로 그림을 시작하였다. 당대의 대가로 알려진 안중식(安中植)조석진(趙錫晉) 문하에 드나들기 시작한 것이 화가로서의 출발이었다.

그러나 당시 화단은 중국의 화보(畵譜)를 충실히 임모(臨模)하는 것이 고작이었기 때문에, 여기에 환멸을 느낀 그는 궁내부시절 외국인들과 접촉으로 대할 수 있었던 서양의 그림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1909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양화과(洋畵科)에 입학하면서 본격적인 서양화수업에 들어갔는데, 이것이 한국인으로는 최초의 서양화 제작이 되었다.

5년간의 수업을 마치고 귀국하자 그는 신미술운동을 전개할 것을 결심하고, 당시 서화계의 중진과 대가들을 종용하여 최초의 한국인 서화가들의 모임이자 근대적인 의미의 미술단체인 서화협회(書畵協會)를 결성하였다(초대회장 안중식, 총무 고희동).

서화협회의 가장 중심적인 활동은 회원작품전으로, 1921년 중앙고등보통학교 강당에서 제1회서화협회전이 열렸는데, 이것이 대중을 상대로 한 최초의 근대적인 전시회였다. 회원전과 더불어 계몽사업으로 한국 최초의 미술지인 『서화협회보(書畵協會報)』를 창간하였다.

제1회조선미술전람회에 「정원에서」라는 제목의 유화작품을 출품하기도 하였으나 3회전부터는 조선미술전람회를 거부, 그뒤 줄곧 서화협회만을 이끌었다.

1939년 일제의 탄압으로 서화협회가 해산되기까지 총무 또는 회장으로 민족진영의 미술가 단합에 정력을 기울였다.

광복이 되자 조선미술건설본부의 위원장으로, 그리고 우익미술가들의 집결체인 조선미술협회가 창립되자 회장으로 선출되기도 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오랫동안 심사위원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부산피난시절을 전후하여 한국민주당에 가입, 4월의거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자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로서, 새로운 조형방법을 후진에게 가르친 미술교육자로서, 그리고 화단을 형성하고 이끌어나간 미술행정가로서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그러나 일본에서 귀국 후 10년 만에 서양화에서 동양화로 전향, 서양화적 수법을 가미한 풍(風)을 개척하였으나 양식적으로는 독자성을 이루지 못하여 독립된 화가로서 이렇다 할 작품을 남기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韓國近代美術散考(李龜烈, 乙酉文化社, 1978)
韓國近代美術硏究(李慶成, 同和出版公社, 1980)
韓國現代美術史(吳光洙, 悅話堂, 1982)

[집필자]

오광수(吳光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