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호산(方虎山)
[상세내용]
방호산(方虎山)
1916년∼1959년. 함경북도 출신. 이명은 이천부(李天夫). 중국에서 항일활동을 하던 중 소련으로 유학을 떠났다. 1937년 초부터 이듬해 여름까지 모스크바 식민지반식민지이익연구학원(植民地半植民地利益硏究學院, 구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반을 다녔다. 1939년 3월 모스크바를 떠나 같은 해 9월 연안(延安)에 도착하였다. 1940년 무렵 항일군정대학(抗日軍政大學) 동북간부훈련반(東北幹部訓練班)에서 학습한 뒤에 중국공산당 팔로군(八路軍) 일선부대에 파견되었다.
1942년 초 연안해외연구반(延安海外硏究班) 조선조에 소속되어 조선해방문제를 연구하였다. 1945년 2월연안에서 정식으로 개교한 조선혁명군정학교(朝鮮革命軍政學校)에 참여하여 제1구대 협리원(지도원)이 되었다. 광복 직후인 1945년 11월 중국공산당의 지시에 따라 동북지방으로 이동하여 동북조선의용군 제1지대 정치위원이 되었다. 이 후 남만주 일대에서 군대 증강과 조선인 보호활동을 하였다. 1945년부터 1948년까지의 동북내전(東北內戰) 기간 동북민주연군(東北民主聯軍) 이홍광지대(李紅光支隊)의 정치위원으로 중국공산당의 반국민당 전투에 참전하였다.
1949년 7월 조선인들이 절대 다수인 중국인민해방군 제166사단 사단장으로 병사들을 이끌고 입북하였다. 이 사단을 조선인민군 제6사단으로 확대 개편하고, 초대 사단장에 임명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제6사단을 이끌고 호남 일대와 진주, 마산까지 진출하는 등 전공을 세워 전체 전쟁과정에서 북한측 영웅으로 대접받았고, 제6사단은 근위사단의 칭호를 수여받았다.
1950년 10월 제5군단장에 임명되어 동부전선 전투를 지휘하였다. 1956년 6월 영웅칭호를 받았다. 1958년 8월 인민군 제5군단장, 육군대학 총장을 맡았다. 1956년 8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최창익(崔昌益).윤공흠(尹公欽) 등 연안계(延安系)가 기도한 반당.반정부 활동, 즉 ‘8월 종파사건’에 연루되어 1959년 숙청당하였다.
1942년 초 연안해외연구반(延安海外硏究班) 조선조에 소속되어 조선해방문제를 연구하였다. 1945년 2월연안에서 정식으로 개교한 조선혁명군정학교(朝鮮革命軍政學校)에 참여하여 제1구대 협리원(지도원)이 되었다. 광복 직후인 1945년 11월 중국공산당의 지시에 따라 동북지방으로 이동하여 동북조선의용군 제1지대 정치위원이 되었다. 이 후 남만주 일대에서 군대 증강과 조선인 보호활동을 하였다. 1945년부터 1948년까지의 동북내전(東北內戰) 기간 동북민주연군(東北民主聯軍) 이홍광지대(李紅光支隊)의 정치위원으로 중국공산당의 반국민당 전투에 참전하였다.
1949년 7월 조선인들이 절대 다수인 중국인민해방군 제166사단 사단장으로 병사들을 이끌고 입북하였다. 이 사단을 조선인민군 제6사단으로 확대 개편하고, 초대 사단장에 임명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제6사단을 이끌고 호남 일대와 진주, 마산까지 진출하는 등 전공을 세워 전체 전쟁과정에서 북한측 영웅으로 대접받았고, 제6사단은 근위사단의 칭호를 수여받았다.
1950년 10월 제5군단장에 임명되어 동부전선 전투를 지휘하였다. 1956년 6월 영웅칭호를 받았다. 1958년 8월 인민군 제5군단장, 육군대학 총장을 맡았다. 1956년 8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최창익(崔昌益).윤공흠(尹公欽) 등 연안계(延安系)가 기도한 반당.반정부 활동, 즉 ‘8월 종파사건’에 연루되어 1959년 숙청당하였다.
[참고문헌]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和田春樹 저‧이종석 역, 창작과비평사, 1992)
조선로동당연구(이종석, 역사비평사, 1995)
조선전쟁(와다 하루끼 저‧서동만 역, 창작과비평사, 1999)
北朝鮮における社會主義體制の成立(徐東晩, 東京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95)
조선로동당연구(이종석, 역사비평사, 1995)
조선전쟁(와다 하루끼 저‧서동만 역, 창작과비평사, 1999)
北朝鮮における社會主義體制の成立(徐東晩, 東京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95)
[집필자]
김용현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06-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내용으로 대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