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헌순(朴憲舜)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15D5CCC21CB1878X0 |
자(字) | 순부(淳夫) |
호(號) | 일봉(一峰) |
생년 | 1878(고종 15) |
졸년 | 1967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밀양(密陽) |
활동분야 | 학자 > 유생 |

부 | 박종림(朴宗林) |
모 | 평산신씨(平山申氏) |
조부 | 박연목(朴淵穆) |
증조부 | 박중호(朴中虎) |
처 | 영천황보씨(永川皇甫氏) |
처부 | 황보회(皇甫恢) |
외조부 | 신재학(申在學) |
출생지 |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 장수면(長壽面) 성곡리(星谷里) |
묘소 | 경상북도 영천(永川) 화북(華北) 안천동(安川洞) |
저서 | 『일봉유고(一峰遺稿)』 |

[상세내용]
박헌순(朴憲舜)
1878년(고종 15) 12월 6일에∼1967년 1월 25일.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순부(淳夫)이고, 호는 일봉(一峰)이다.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 장수면(長壽面) 성곡리(星谷里)에 출생했다.
증조부는 박중호(朴中虎), 조부는 박연목(朴淵穆: 일명 朴慶泰)이고, 부친 박종림(朴宗林)과 모친 평산신씨(平山申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외조부는 모당(慕堂) 신재학(申在學)이다. 부인은 황보회(皇甫恢)의 딸 영천황보씨(永川皇甫氏)이다.
어려서부터 기질이 남다르고 재주가 출중하였다. 8, 9세부터 마을 서당에서 공부를 하였으며 글을 한 번만 훑어보면 모두 외웠다. 효산(曉山) 정의표(鄭宜杓)와 정재(貞齋) 서정옥(徐廷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해방 후 남북분열로 서북청년회(西北靑年會: 우익청년단체로 경찰을 도와 좌익 색출 등의 일에 선봉이 됨)가 마을로 들어와 소란스러웠는데 대원 5, 6명이 그의 집안까지 들어왔다. 그가 문을 열고 무슨 일로 분란을 일으키느냐고 묻자, 그들은 큰절을 올리더니 집안으로 들어와서야 박씨(朴氏) 집안인 걸 알았다며 조용히 물러갔다. 이렇게 당시 그의 학문과 행실, 가문의 이름은 널리 알려져 있었다. 90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자녀로 2남 박성규(朴成圭)‧박남배(朴南培)와 성기승(成基承)과 장제완(蔣濟完)에게 출가시킨 두 딸을 두었다.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永川) 화북(華北) 안천동(安川洞)에 자리하고 있다.
그의 문집 『일봉유고(一峰遺稿)』에는 이기윤(李基允)의 서문이 붙어 있다. 남긴 작품이 많지 않으나 그 중 「신효부전(申孝婦傳)」‧「금정조수(釜井釣叟)」‧「박부인효열전(朴夫人孝烈傳)」 등이 주목할 만하며, 부록(附錄)에는 가장초(家狀草)와 행장(行狀) 등이 실려 있다.
증조부는 박중호(朴中虎), 조부는 박연목(朴淵穆: 일명 朴慶泰)이고, 부친 박종림(朴宗林)과 모친 평산신씨(平山申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외조부는 모당(慕堂) 신재학(申在學)이다. 부인은 황보회(皇甫恢)의 딸 영천황보씨(永川皇甫氏)이다.
어려서부터 기질이 남다르고 재주가 출중하였다. 8, 9세부터 마을 서당에서 공부를 하였으며 글을 한 번만 훑어보면 모두 외웠다. 효산(曉山) 정의표(鄭宜杓)와 정재(貞齋) 서정옥(徐廷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해방 후 남북분열로 서북청년회(西北靑年會: 우익청년단체로 경찰을 도와 좌익 색출 등의 일에 선봉이 됨)가 마을로 들어와 소란스러웠는데 대원 5, 6명이 그의 집안까지 들어왔다. 그가 문을 열고 무슨 일로 분란을 일으키느냐고 묻자, 그들은 큰절을 올리더니 집안으로 들어와서야 박씨(朴氏) 집안인 걸 알았다며 조용히 물러갔다. 이렇게 당시 그의 학문과 행실, 가문의 이름은 널리 알려져 있었다. 90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자녀로 2남 박성규(朴成圭)‧박남배(朴南培)와 성기승(成基承)과 장제완(蔣濟完)에게 출가시킨 두 딸을 두었다.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永川) 화북(華北) 안천동(安川洞)에 자리하고 있다.
그의 문집 『일봉유고(一峰遺稿)』에는 이기윤(李基允)의 서문이 붙어 있다. 남긴 작품이 많지 않으나 그 중 「신효부전(申孝婦傳)」‧「금정조수(釜井釣叟)」‧「박부인효열전(朴夫人孝烈傳)」 등이 주목할 만하며, 부록(附錄)에는 가장초(家狀草)와 행장(行狀) 등이 실려 있다.
[참고문헌]
一峰遺稿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9-09-30 | 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