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건(李載乾)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7ACAC74B1868X0 |
생년 | 1868(고종 5)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이익응(李益應) |
생부 | 이조응(李祚應)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재건(李載乾)
1868년(고종 5)~미상. 조선 말기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한양이다.
부친은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진안현감(行鎭安縣監) 이익응(李益應)이고, 생부는 유학(幼學) 이조응(李祚應)이다. 형은 이재관(李載寬)이다.
1887년(고종 24) 정시 병과에 31위로 문과 급제하였고, 1888년(고종 25) 식년시 생원 3등 111위로 합격하였다. 이후 도청(都廳)‧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역임하였다.
1889년(고종 26) 주천(奏薦)에서 추천되었고, 1891년(고종 28)에는 홍문록(弘文錄)과 도당록(都堂錄)에서 권점(圈點)을 받았다.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甲午改革) 때, 교리 정승현(鄭承鉉) 등과 같이 연명차자(聯名箚子)를 올려 갑신정변(甲申政變)을 주도한 김옥균(金玉均)에게 이괄(李适)‧신치운(申致雲)과 같이 극형으로 다스릴 것을 청하였다. 1907년(융희 1) 황태자 즉위식에 참여하여 가자(加資)되었다.
부친은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진안현감(行鎭安縣監) 이익응(李益應)이고, 생부는 유학(幼學) 이조응(李祚應)이다. 형은 이재관(李載寬)이다.
1887년(고종 24) 정시 병과에 31위로 문과 급제하였고, 1888년(고종 25) 식년시 생원 3등 111위로 합격하였다. 이후 도청(都廳)‧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역임하였다.
1889년(고종 26) 주천(奏薦)에서 추천되었고, 1891년(고종 28)에는 홍문록(弘文錄)과 도당록(都堂錄)에서 권점(圈點)을 받았다.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甲午改革) 때, 교리 정승현(鄭承鉉) 등과 같이 연명차자(聯名箚子)를 올려 갑신정변(甲申政變)을 주도한 김옥균(金玉均)에게 이괄(李适)‧신치운(申致雲)과 같이 극형으로 다스릴 것을 청하였다. 1907년(융희 1) 황태자 즉위식에 참여하여 가자(加資)되었다.
[참고문헌]
國朝榜目
CD-ROM 司馬榜目
高宗實錄純宗實錄
CD-ROM 司馬榜目
高宗實錄純宗實錄
[집필자]
이후남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