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학(辛泳學)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2E0C601D559B1852X0 |
자(字) | 무형(懋馨) |
호(號) | 이운(怡雲) |
생년 | 1853(철종 4) |
졸년 | 1920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영산(靈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관련정보]
[상세내용]
신영학(辛泳學)
1853년(철종 4)∼1920년. 조선 말기 문신‧유학자. 자는 무형(懋馨)이고, 호는 이운(怡雲)이다. 본관은 영산(靈山)이고, 출신지는 경상남도 영산(靈山: 현 창녕군(昌寧郡))이다.
부친은 전행선공감가감역(前行繕工監假監役) 신규성(辛奎成)이고, 형으로는 신영원(辛泳元)과 신영곤(辛泳坤)이 있다.
1876년(고종 13) 식년시 생원 1등 4위로 합격한 뒤, 1894년(고종 31) 식년시에 병과 30위로 문과 급제한 후, 관직은 재랑(齋郞)‧전사(典事)‧비서감낭(秘書監郎)‧홍문관시강(弘文館侍講)‧규장각직각(奎章閣直閣)‧궁내부특진관이조참판(宮內府特進官吏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시강 재임 중에 황태자의 혼례식에 참여하여 임금으로부터 은장을 받았으며, 1910년(융희 4) 경술국치 후 일제에 의해 강요된 단발령에 따르지 않자 일본인들이 회유하려 하였으나 끝까지 거절하고 낙향하여 은거하였다.
부친은 전행선공감가감역(前行繕工監假監役) 신규성(辛奎成)이고, 형으로는 신영원(辛泳元)과 신영곤(辛泳坤)이 있다.
1876년(고종 13) 식년시 생원 1등 4위로 합격한 뒤, 1894년(고종 31) 식년시에 병과 30위로 문과 급제한 후, 관직은 재랑(齋郞)‧전사(典事)‧비서감낭(秘書監郎)‧홍문관시강(弘文館侍講)‧규장각직각(奎章閣直閣)‧궁내부특진관이조참판(宮內府特進官吏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시강 재임 중에 황태자의 혼례식에 참여하여 임금으로부터 은장을 받았으며, 1910년(융희 4) 경술국치 후 일제에 의해 강요된 단발령에 따르지 않자 일본인들이 회유하려 하였으나 끝까지 거절하고 낙향하여 은거하였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집필자]
유치석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