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학주(洪學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D559C8FCB1839X0
자(字)경윤(景潤)
생년1839(헌종 5)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풍산(豊山)
활동분야문신
홍휘모(洪徽謨)

[상세내용]

홍학주(洪學周)
1839년(헌종 5)~미상. 조선 말기 문신. 자는 경윤(景潤)이다.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거주지는 한양(漢陽: 현 서울)이다.

증조부는 홍순호(洪純浩)이고, 조부는 홍희석(洪羲錫)이며, 부친은 홍휘모(洪徽謨)이다. 외조부는 임응수(林膺洙)이고, 처부는 정기삼(鄭基三)이다.

1879년(고종 16) 정시에 병과 10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부교리(副校理)‧수찬(修撰)‧장령(掌令)‧선전관(宣箋官) 등을 역임하였다.

1882년(고종 19)에 행부제학(行副提學) 김윤식(金允植) 등과 연명차자(聯名箚子)를 올려 임오군란 당시 성급히 명성황후의 국상을 발표하여 조정을 어지럽히고 민심을 흩트린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임응준(任應準)과 예조판서(禮曹判書) 이회정(李會正)을 탄핵하며 유배시킬 것을 청하였다. 1884년(고종 21) 상소를 올려 갑신정변(甲申政變)의 주모자 김옥균(金玉均)‧서광범(徐光範)‧서재필(徐載弼)‧박영효(朴泳孝)‧홍영식(洪英植) 등의 처형을 청하였다. 1886년(고종 23) 상소를 올려 김옥균의 양부(養父) 통정대부(通政大夫) 김병기(金炳基)의 품계 삭탈을 청하였다. 그러나 임금으로부터 김옥균 사건이 일어난 지 3년이나 지난 시점에서 양부의 품계를 삭탈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질책을 들었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高宗實錄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