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상호(任尙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84C0C1D638B1837X0
자(字)성로(聖老)
생년1837(헌종 3)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풍천(豊川)
활동분야문신
임대준(任大準)

[상세내용]

임상호(任尙鎬)
1837년(헌종 3)~미상. 조선 말기 문신. 자는 성로(聖老)이다. 본관은 풍천(豊川)이다.

참판(參判) 임수적(任守迪)의 후손으로, 고조는 대간(大諫) 임희교(任希敎)이고, 증조부는 임의상(任毅常)이며, 조부는 임백완(任百完)이다. 부친 임대준(任大準)과 모친 이병정(李秉正)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엄석오(嚴錫五)의 딸이다.

1869년(고종 6) 정시 문과에서 병과 1위로 급제하였고, 1870년(고종 7) 김명진(金明鎭)‧김연수(金演壽)‧오인영(吳麟泳) 등과 함께 승정원(承政院)의 주서(注書)로 추천되었으며, 1874년(고종 11) 본관록(本館錄)에 선발되었다. 1878년(고종 15) 세자의 병이 나은 것을 진하(陳賀)할 때 우통례(右通禮)로 참여하여 품계를 올려 받았다. 1882년(고종 19)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에 임명되었고, 1907년(융희 1) 황태자의 즉위식 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백관가(百官加)가 친수되었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國朝榜目
純宗實錄
縉紳八世譜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