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치성(吳致成)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624CE58C131B1785X0 |
이명(異名) | 오치규(吳致奎) |
자(字) | 서오(瑞五) |
호(號) | 아관(我觀) |
생년 | ?(미상) |
졸년 | 1844(헌종 10)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해주(海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오윤상(吳允常) |
생부 | 오희상(吳熙常) |
생모 | 안동권씨(安東權氏) |
처부 | 심능수(沈能秀) |
처부 | 박종각(朴宗珏) |
외조부 | 김상성(金相聖) |

[관련정보]
[상세내용]
오치성(吳致成)
미상∼1844년(헌종 10). 본관은 해주(海州), 다른 이름은 오치규(吳致奎). 자는 서오(瑞五), 호는 아관(我觀).
부친은 유학자(儒學者) 오윤상(吳允常)이고, 모친은 김상성(金相聖)의 딸이다. 생부는 행시강원찬선(行侍講院贊善)‧증이조판서(贈吏曹判書) 노주(老州) 오희상(吳熙常)이고, 생모는 권제응(權濟應)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처부는 심능수(沈能秀)‧박종각(朴宗珏)이다.
태어나면서 백부(伯父) 오희상의 뒤를 이었으며, 공령(功令: 과문(科文). 고려 및 조선시대 문과(文科) 과거에서 시험을 보인 여러 문체)으로 1810년(순조 10) 경오(庚午)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처음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벼슬에 올라 내외직(內外職)을 두루 거쳐 통훈대부(通訓大夫) 상주목사(尙州牧使)에 이르렀다.
1833년(순조 33) 부친이 죽자 애통함이 심하여 벼슬을 내놓았다가, 천거(薦擧)로 감정(監正)을 배수(拜受)받았으나 사양하고 1844년(헌종 10) 60세로 사망하였다.
부친은 유학자(儒學者) 오윤상(吳允常)이고, 모친은 김상성(金相聖)의 딸이다. 생부는 행시강원찬선(行侍講院贊善)‧증이조판서(贈吏曹判書) 노주(老州) 오희상(吳熙常)이고, 생모는 권제응(權濟應)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처부는 심능수(沈能秀)‧박종각(朴宗珏)이다.
태어나면서 백부(伯父) 오희상의 뒤를 이었으며, 공령(功令: 과문(科文). 고려 및 조선시대 문과(文科) 과거에서 시험을 보인 여러 문체)으로 1810년(순조 10) 경오(庚午)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처음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벼슬에 올라 내외직(內外職)을 두루 거쳐 통훈대부(通訓大夫) 상주목사(尙州牧使)에 이르렀다.
1833년(순조 33) 부친이 죽자 애통함이 심하여 벼슬을 내놓았다가, 천거(薦擧)로 감정(監正)을 배수(拜受)받았으나 사양하고 1844년(헌종 10) 60세로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梅山集
朝鮮人名辭書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朝鮮人名辭書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집필자]
김동섭
대표명 | 오치성(吳致成) |
성명 | 오치성(吳致成) |
성명 : "오치성(吳致成)"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