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기종(朴淇鍾)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AE30C885B1824X0
자(字)공진(公振)
호(號)죽포(竹圃)
생년1824(순조 24)
졸년1898(광무 2)
시대조선후기
본관무안(務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혁수(朴赫修)
여산송씨(礪山宋氏)
외조부송달재(宋達載)
저서『죽포집』

[상세내용]

박기종(朴淇鍾)
1824년(순조 24)∼1898년.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공진(公振), 호는 죽포(竹圃).

감찰(監察) 박혁수(朴赫修)의 아들이며, 모친은 여산송씨(礪山宋氏)송달재(宋達載)의 딸이다.

처음 김상철(金相轍)로부터 수학하다가 홍직필(洪直弼)의 문하에서 이기설(理氣說)에 몰두하였다.

1861년(철종 12)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사간원정언이조정랑 등을 지냈다.

1874년(고종 11) 시폐(時弊)에 대하여, 1882년 임오군란으로 인한 국정문란의 대책에 대하여, 1884년 갑신정변에 대한 대책 등을 상소하였다. 그 내용들은 위정척사(衛正斥邪)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1890년 일본세력이 횡행함에 분을 참지 못하여 치사(致仕)하였으며, 1894년 동학혁명이 일어나자 진압에 힘썼다.

1895년 을미사변으로 단발령이 내리자 결연히 의병의 뜻을 품었으나 병고로 이루지 못하였다.

저서로는 『죽포집』이 있다.

[참고문헌]

竹圃集

[집필자]

김성환(金聖桓)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