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민상(李敏庠)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BFCC0C1B1810X0
자(字)치양(稚養)
생년1810(순조 10)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함평(咸平)
활동분야무신
이응서(李膺緖)
생부이매서(李邁緖)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민상(李敏庠)
1810년(순조 10)∼미상. 조선 후기 무신. 자는 치양(稚養)이다. 본관은 함평(咸平)이다.

이초옥(李楚玉)의 후손으로, 고조는 이수구(李壽龜)이고, 증조부는 이명운(李明運)이며, 조부는 이유성(李儒成)이다. 부친은 통사(統使) 이응서(李膺緖)이고, 모친은 방어사(防禦使) 이억(李檍)의 딸이다. 생부 이매서(李邁緖)와 생모 송약(宋藥)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남경채(南敬采)의 딸이다.

무보(武譜)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864년(고종 1)에는 경상좌도(慶尙左道)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에 임명되었다. 1865년(고종 2)에는 하천을 준설하는 공사에 참여한 공으로 품계를 올려 받았다. 이후 경상우도(慶尙右道)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황해도(黃海道) 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무보(武譜)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