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응인(李應寅)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751C778B1546X0
자(字)하경(夏卿)
생년1808(순조 8)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이태면(李泰冕)

[상세내용]

이응인(李應寅)
1808년(순조 8)~미상. 조선 후기 문신. 자는 하경(夏卿)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거주지는 한양(漢陽)이다.

증조부는 이익진(李翼晉)이고, 조부는 이정로(李正魯)이며, 부친은 이태면(李泰冕)이다.

1828년(순조 28) 식년시에 생원 2등 6위로 합격하였다.

1851년(철종 2)에 성균관(成均館) 유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춘당대(春塘臺)의 과시(科試)에 표(表) 분야로 응시하여 좋은 성적으로 전시(殿試)에 바로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1852년(철종 3) 식년시에서 을과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영광군수(靈光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1855년(철종 6) 홍문관의 후보자로 낙점 된 뒤, 부교리에 제수되었다. 같은 해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추존을 소청했다가 유배되었던 유치명(柳致明)‧권재대(權載大)에 대한 철종의 방면령에 대해 반대상소를 올렸다. 1858년(철종 9)에는 사성(司成)으로서 도도청(都道廳)의 자격으로 남전증건도감(南殿增建都監)에 참여한 공으로 가자(加資)되었다.

[참고문헌]


[집필자]

유치석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