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효묵(朴斅黙)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15D6A8BB35B1789X0 |
자(字) | 치학(穉學) |
생년 | 1789(정조 13)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밀양(密陽) |
활동분야 | 문신 |

부 | 박동재(朴東載) |

[관련정보]
[상세내용]
박효묵(朴斅黙)
1789년(정조 13)~미상.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치학(穉學)이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승지(承旨) 박안현(朴顔賢)의 후손으로, 고조는 박정익(朴廷翼)이고, 증조부는 진사(進士) 박만원(朴萬源)이며, 조부는 승지(承旨) 박창윤(朴昌潤)이다. 부친 진사 박동재(朴東載)와 모친 이상방(李相昉)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박수묵(朴修黙)‧박교묵(朴敎黙)이다. 부인은 정시행(鄭時行)의 딸이다.
1828년(순조 28) 식년시에서 진사 3등 19위로 합격하였고, 1840년(헌종 6)에는 인정전(仁政殿)에서 추도기유생(秋到記儒生)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험에서 제술(製述) 분야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전시(殿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았으며, 1841년(헌종 7) 정시 문과에서 병과 11위로 급제하였다.
1848년(헌종 14) 본관록(本館錄)에 선발되었고, 이후 집의(執義) 등을 역임하였다.
1851년(철종 2) 회양부사(淮陽府使)로 재직 중이었는데, 강원도암행어사(江原道暗行御史) 이계선(李啓善)을 통해 그의 선정(善政)이 보고되어 임금으로부터 치하를 받았다. 1853년(철종 4)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에 임명되었다.
승지(承旨) 박안현(朴顔賢)의 후손으로, 고조는 박정익(朴廷翼)이고, 증조부는 진사(進士) 박만원(朴萬源)이며, 조부는 승지(承旨) 박창윤(朴昌潤)이다. 부친 진사 박동재(朴東載)와 모친 이상방(李相昉)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박수묵(朴修黙)‧박교묵(朴敎黙)이다. 부인은 정시행(鄭時行)의 딸이다.
1828년(순조 28) 식년시에서 진사 3등 19위로 합격하였고, 1840년(헌종 6)에는 인정전(仁政殿)에서 추도기유생(秋到記儒生)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험에서 제술(製述) 분야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전시(殿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았으며, 1841년(헌종 7) 정시 문과에서 병과 11위로 급제하였다.
1848년(헌종 14) 본관록(本館錄)에 선발되었고, 이후 집의(執義) 등을 역임하였다.
1851년(철종 2) 회양부사(淮陽府使)로 재직 중이었는데, 강원도암행어사(江原道暗行御史) 이계선(李啓善)을 통해 그의 선정(善政)이 보고되어 임금으로부터 치하를 받았다. 1853년(철종 4)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에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國朝榜目
司馬榜目
搢紳譜
哲宗實錄
憲宗實錄
司馬榜目
搢紳譜
哲宗實錄
憲宗實錄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