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한치윤(韓致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55CCE58C724B1765X0
자(字)대연(大淵)
호(號)옥유당(玉蕤堂)
생년1765(영조 41)
졸년1814(순조 14)
시대조선후기
본관청주(淸州)
활동분야학자 > 유생
한원도(韓元道)
고령신씨(高靈申氏)
조부한덕량(韓德良)
출신지한성

[상세내용]

한치윤(韓致奫)
1765년(영조 41)∼1814년(순조 14).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대연(大淵), 호는 옥유당(玉蕤堂). 한성 출신.
1. 가계와 집안의 처지
헌납 한덕량(韓德良)의 손자로 통덕랑 한원도(韓元道)의 아들이며, 모친은 고령신씨(高靈申氏)이다.

어려서부터 전통적인 교육을 받고 9세 때에 이미 글을 읽으면 그 뜻을 완전히 깨닫게 될 만큼 숙성하였다고 한다.

또, 어느 정도 성장한 청년기에는 시문에 뛰어나 명성이 있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가 성장하였을 때는 남인의 정치세력이 이미 완전히 꺾여 있던 터라 벼슬에의 뜻을 버릴 수밖에 없었다. 비록, 영조정조대의 탕평정국(蕩平政局)이라 하더라도 그가 속한 남인들은 정치무대에서 힘도 제대로 쓸 수 없는 형세였기 때문에, 대부분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만 전력하던 추세였다.

이런 상황하에서 그는 1789년(정조 13) 진사시에만 합격하였을 뿐 문과에는 응시를 하지 않고 학문에만 진력하였다.

그런데도 그가 간혹 종2품의 가선대부(嘉善大夫)의 지체로도 불리는 것은 아들 한진상(韓鎭象)동지돈녕부사가 되어 1887년(고종 24)에 삼대추증(三代追贈)에 의하여 그에게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가 증직된 때문이다.
2. 북경 견문과 학업 정진
1799년 10월북경에 사행(使行)하는 집안 형님 한치응(韓致應)을 수행하여, 당시 학자들이 대부분 한번은 가보고 싶어하였던 선진문물의 본거지 북경에 약 2개월 동안 머무르면서, 청나라의 문물을 살펴보고 돌아온 뒤 자신의 학문과 사상을 더욱 정진시켜나갔다.

당시의 사행은 의례적인 외교적 차원의 통교(通交)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문화교류의 중요한 기회도 되었다. 이러한 연유가 당시 학계에 새로운 학문적 조건을 지어주었던 것으로 보면, 그의 북경여행은 자신의 학문과 사상을 개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리라는 것은 쉽게 짐작이 간다.

그뒤 이러한 학문적인 기틀을 가지고 한국사의 객관적인 서술을 기도하게 되었던 것이다. 『해동역사(海東繹史)』의 원편(原篇) 70권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은 그의 만년의 10여년 동안에 걸쳐서 이룩한 업적이다. 이밖에도 북경을 여행할 당시의 연행일기(燕行日記)와 많은 유고(遺稿)가 조선 후기까지도 그 증손자인 한일동(韓日東)에 의하여 간직되고 있었으나, 이들의 유고는 오늘날 그 소장여부가 알려져 있지 않다.
3. 교우 관계와 평가
그는 50년의 생애 동안 젊어서는 시문으로 그 이름을 떨쳤고, 중년에는 북경을 찾아서 견문을 넓혔으며, 만년에는 한국사의 객관적인 편찬물을 이룩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그러면서도 집안에서는 일찍이 죽은 형님 한치규(韓致奎)의 식솔을 극진히 돌보았다. 조카 한진서(韓鎭書)가 학행으로 세상에 이름이 있었고, 진사가 된 뒤 현감까지 나가게 된 것도 그의 보살핌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한편, 그는 학문의 교환에서 당색을 초월한 폭넓은 학우들을 사귀는 데 노력하였다. 당시는 학문의 교환에서 학연(學緣)‧지연‧당색 등을 초월한 접촉이 많았다는 시대상황에서도 연유하지만 그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였다. 그가 죽은 뒤 상청에 보낸 만장(挽章)에서 보아도 알 수 있다. 물론, 그의 원만한 인격과 학문적인 업적을 기리는 바도 없지 않았다.

즉, 후대 김정희(金正喜)는 만장에서 그를 송대 『옥해(玉海)』의 저자 왕응린(王應麟)청나라 초기의 고증학자 고염무(顧炎武)에 비유해서 그 업적을 높이 평가하였고, 한치응홍명주(洪命周)심영석(沈英錫)도 그와같이 평가하였으며, 김유헌(金裕憲)도 그의 인품을 옥(玉)과 난(蘭)에 견주었다.

또, 이해응(李海應)은 그를 후한 때 은거하면서 학덕을 쌓고 청빈하면서도 봉양(奉養)‧우애를 일삼았던 모용(茅容)과, 역시 같은 무렵 신선과도 견줄 만큼의 풍채와 학문과 덕행을 가졌던 곽태(郭泰)에 비유하기도 하였다.

만장에서 그를 높이 평가한 이들은 거의가 당대 당상관으로 있던 지체높은 친구 내지는 그를 아끼던 인물이었지만, 이밖에도 그를 기리던 사람들은 허다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해동역사』의 서문에서 유득공(柳得恭)이 그를 평가한 것도 물론 예외는 아니다.

이와같이, 그는 한국사학사에서 높이 평가될 수 있는 『해동역사』의 저자라고 하는 위치에서만이 아니라, 18세기말에서 19세기 초기에 걸쳐서 우리나라의 문화사적 측면에서도 도외시될 수 없는 인물이다. 그가 전통적인 학문과 덕행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학문적인 분야를 개척하고 이를 위한 색다른 업적을 쌓아올린 성과는 당시의 어떤 학문적‧사상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데 소홀히 할 수 없는 측면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海東繹史
玉蕤堂韓公行狀
韓致奫의 實學思想(黃元九, 人文科學 7, 1962)

[집필자]

황원구(黃元九)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