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오희상(吳熙常)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24D76CC0C1B1763X0
자(字)사경(士敬)
호(號)노주(老洲)
시호(諡號)문원(文元)
생년1763(영조 39)
졸년1833(순조 33)
시대조선후기
본관해주(海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오재소(吳載紹)
생부오재순(吳載純)
저서『독서수기(讀書隨記)』
저서『노주집』

[관련정보]

[상세내용]

오희상(吳熙常)
1763년(영조 39)∼1833년(순조 3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경(士敬), 호는 노주(老洲). 대제학 오재순(吳載純)의 아들이다. 예조판서 오재소(吳載紹)에게 입양되었다.

어려서부터 형 오윤상(吳允常)에게 수학, 학문의 방법은 자수자득(自修自得)을 주로 하여 성리학의 오의(奧義)에 정통하였다.

1800년(정조 24) 천거로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가 되고, 장릉참봉(長陵參奉)돈녕부참봉한성부주부황해도도사사어(司禦) 등을 지낸 뒤, 1818년(순조 18) 경연관지평 등에 임명되었으나 광주(廣州)징악산(徵嶽山)에 은거하였다.

이 동안 지평장령집의승지이조형조공조참의, 1829년 세손부(世孫傅), 1832년 찬선(贊善)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다.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여 이황(李滉)이이(李珥)의 양설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절충적인 태도를 취하였으며, 주리(主理)‧주기(主氣)의 양설에 대해서는 주리설을 옹호하였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는 『독서수기(讀書隨記)』『노주집』 등이 있다. 시호는 문원(文元)이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純祖實錄
梅山集
韓國儒學史(裵宗鎬, 延世大學校出版部, 1974)

[집필자]

정덕기(鄭德基)

성명 : "오희상(吳熙常)"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公車類覽求售而鹵莽蹭蹬仍成廢棄亦嘗從遊師友出 入於故贊善臣吳熙常故祭酒臣洪直弼之門者不爲不 久糞土之質敎無所施徒資
王世子嘉禮都監儀軌n1-2책愚 在‧奉圭兼輔德韓兢履 竝加資 贊善宋穉圭 進善吳熙常 議李友信 各內下大鹿皮一令賜給 其餘春坊‧分侍講
王世子嘉禮謄錄n1-1책相輔德李愚在捧圭兼輔德韓兢履竝加資 贊善宋穉圭進善吳熙常諮議李友信各內下大鹿皮一令賜給 其餘春坊分侍講院分
王世子冠禮謄錄冒當仰對乎虛辱王人惶恐待罪而已云司憲府掌令 臣 吳熙常以爲 臣 以庸流下品猥通臺選僥濫已極而因此輾轉詿
王世子冠禮謄錄書趙 庭和說書徐英淳兼說書徐憙淳兼贊善宋穉圭進 善吳熙常諮議李友信翊衛金鏴沈能定司禦李羲玄 李度憲翊贊安喆
孝懿王后國恤草日記違嚴旨尤合刑章席藁私次惶 恐俟罪而已云侍講院進善臣吳熙常以爲臣於日前書筵開 停之詢愚衷激切妄有所獻而僭猥之
秋曹褒貶謄錄n1-1책今春 夏等襃貶本曹參議例與刑房承旨同爲磨勘而參 議吳熙常在外未肅拜不得磨勘以入之意敢 啓傳曰知道判書李勉昇
秋曹褒貶謄錄n1-1책以入之意敢 啓傳曰知道判書李勉昇進參判金箕殷進參議吳熙常在外正郞沈獻永瓜近且恕上 李憲英架矣老鍊上 吳致永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