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공철(南公轍)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A8ACF5CCA0B1760X0
자(字)원평(元平)
호(號)금릉(金陵)
시호(諡號)문헌(文獻)
생년1760(영조 36)
졸년1840(헌종 6)
시대조선후기
본관의령(宜寧)
활동분야문학 > 문인
남유용(南有容)
출신지서울

[상세내용]

남공철(南公轍)
1760년(영조 36)∼1840년(헌종 6). 조선 후기 문장가‧정치가.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원평(元平), 호는 사영(思穎)금릉(金陵).

서울 출신. 부친은 대제학 남유용(南有容)이다.

1780년(정조 4) 초시에 합격하고, 1784년에 아버지가 정조의 사부였던 관계로 음보로 세마를 제수받았고, 이어 산청임실현감을 지냈다.

1792년에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곧 이어 홍문관부교리규장각직각에 임명되어 『규장전운(奎章全韻)』의 편찬에 참여하면서 정조의 지극한 우대를 받았다.

초계문신에 선임되었으며, 친우이자 후일의 정치적 동지인 김조순(金祖淳)심상규(沈象奎)와 함께 패관문체를 일신하려는 정조의 문체반정운동에 지목되어 그뒤 순정한 육경고문(六經古文)을 깊이 연찬함으로써 정조치세에 나온 인재라는 평을 받았다.

정조 때에는 주로 대사성으로서 후진교육문제에 전념하였다. 순조 즉위 뒤 『정종실록』 편찬에 참가하였으며, 아홉번씩 이조판서를 제수받고, 대제학을 역임하였다.

1807년(순조 7)에는 동지정사로서 연경에 다녀왔고, 1817년에 우의정에 임명된 뒤 14년간이나 재상을 역임하였으며, 1833년에 영의정으로 치사하여 봉조하가 되었다.

평소에 김상임(金相任)성대중(成大中)이덕무(李德懋) 등과 친하게 지내면서 독서를 좋아하였고, 경전의 뜻에 통달하였다. 구양수(歐陽修)의 문장을 순정(淳正)한 법도라 하여 가장 존중하였고, 많은 금석문‧비갈을 남긴 당대 제일의 문장가였다.

순조익종『열성어제(列聖御製)』를 편수하였고, 저서로는 『고려명신전(高麗名臣傳)』, 자편의 시문집으로 『귀은당집(歸恩堂集)』『금릉집』『영옹속고(穎翁續藁)』『영옹재속고(穎翁再續藁)』『영은문집(瀛隱文集)』 등이 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純祖實錄
憲宗實錄
國朝榜目
歸恩堂集
金陵集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대표명남공철(南公轍)
공철(公轍)
성명남공철(南公轍)
시호문헌(文憲)
원평(元平)

명 : "공철(公轍)"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彙鑑v5城府初留守金履載狀陳本都弊敗之狀請劃添歲入之資領相南公轍請以畿海傍近邑田稅一千五百結劃給掌賦者執難之公轍以豊德接近松境請罷邑屬都竝田賦付之十一月先是因六道儒生金熈鏞等疏以庶流限品疏通詢于大臣卿宰仍令廟堂及
國朝彙鑑v5子斬衰此禮經正文今欲復三代之正禮洗千古之陋習則在聖明斷然行之而已雖其論過時不得見施禮典自古已然請更議公轍議禮宜遵經喪當從先臣之以儀禮及補編據以爲言者此也而補編纂輯時諸臣疏議亦似有據故兼以上聞用備一說今禮曹
密陽朴氏世譜v2肅廟辛酉後後孫之籲冤者屢數十度而自金淸城錫胄以至近世金相公履喬南相公公轍皆覆啓理冤
梁大司馬實紀v1都事次曰熙遇女適敎官全中一慶遇子振翮振翊振翬亨遇子振翰振翅熙遇子振䎘振珝其餘內外曾玄凡幾人具在碑狀中公轍嘗客遊湖南得公所與鄭文淸請斬倭使書而讀之未嘗不感激泣數行下也文淸公安置江界書不果奏而聞金文元先生及張
梁大司馬實紀v1都事次曰熙遇女適敎官全中一慶遇子振翮振翊振翬亨遇子振翰振翅熙遇子振䎘振珝其餘內外曾玄凡幾人具在碑狀中公轍嘗客遊湖南得公所與鄭文淸請斬倭使書而讀之未嘗不感激泣數行下也文淸公安置江界書不果奏而聞金文元先生及張
嘉順宮喪禮錄v1未知殿下於何考據而有此擧歟臣等必知其無於禮之事殿下任情而爲之也禮之誤失自古何限而孰有大於此者乎昨筵臣公轍以此事屢有仰陳一二重臣及承宣繼以仰達而未有發落羣情之抑菀不敢旣退而自安也昔宋太祖召學士竇儼至屛樹間屢
御營廳謄錄v82下公麽卽官焉敢若此雖無南公轍豈無卽官乎爲先汰去差代昔在先朝軍門郞廳李明煥之不卽行公至有拿入決棍之處分公轍則方撕捱於玉堂抑或爲說姑不嚴處此後玉堂行公之人無敢逡巡事嚴飭可也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