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귀운(李龜雲)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DC0C6B4B1744X0
생년1744(영조 20)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진성(眞城)
활동분야문신
이세익(李世翊)

[상세내용]

이귀운(李龜雲)
1744년(영조 20)~미상.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이고, 거주지는 경상북도 예안(禮安)이다.

문순공(文純公) 이황(李滉)의 후손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이구(李榘)이고, 조부는 이수원(李守元)이다. 부친 이세익(李世翊)과 모친 김경헌(金景瀗)의 딸 의성김씨(義城金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으로 속은재(俗隱齋) 이구성(李龜星)이 있다.

1786년(정조 10) 식년시 갑과에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부교리(副校理)‧응교(應敎)‧양산군수(梁山郡守)‧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 등을 역임하였다.

1796년(정조 20) 별시(別試)에 강(講)에 앞서 먼저 교육을 하여 암기를 하게 한 후에 시험을 보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같은 해에 대사간(大司諫) 이정덕(李鼎德) 등과 함께 좌의정(左議政) 채제공(蔡濟恭)을 서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합계(合啓)를 올렸다. 1808년(순조 8) 양산군수 시절 경상좌도암행어사 이우재(李愚在)가 올린 서계(書啓)로 인해 고을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한 죄를 받아 문책을 당하였다. 1816년(순조 16) 삼도감(三都監)의 별단(別單)에 의해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正祖實錄
純祖實錄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