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완옹주(和緩翁主)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24D654C644C639B1737X0 |
생년 | 1737(영조 13)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왕실 > 옹주 |

부 | 영조(英祖) |
모 | 영빈이씨(暎嬪李氏) |
묘소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115-1 반구정 |

[상세내용]
화완옹주(和緩翁主)
1737년(영조 13)∼미상. 본관은 전주(全州).
화완옹주(和緩翁主)는 영조(英祖)의 딸로 후궁 영빈이씨(暎嬪李氏)의 소생이다. 사도세자(思悼世子)와 모두 영빈이씨 소생이다.
정우량(鄭羽良)의 아들인 정치달(鄭致達)과 결혼하였다. 정치달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연일(延日)이며 화완옹주와 결혼해 일성위(日城尉)가 되었으며 시호는 효민(孝敏)이다. 정치달이 일찍 죽자 정치달의 먼 친척인 정후겸을 양자로 들인다. 『조선왕조실록』에 실려 있는 정우량의 졸기에 의하면 화완옹주가 임금의 딸들 가운데에서 임금의 가장 깊은 사랑을 받았고 성질도 요사하게 혜민(慧敏)하였다고 한다.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갇혀 죽는데 큰 역할을 하고 정조가 즉위하기 전에 정후겸과 더불어 홍인한과 결탁하여 정조를 핍박한다. 정조가 즉위하면서 서인으로 강등당한다. 정조는 여러 차례 벌주라는 상소가 이르지만 “선왕이 사랑했던 사람”이라 하여 끝내 사약을 내리지는 않는다.
화완옹주의 묘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115-1 반구정에 있다.
화완옹주(和緩翁主)는 영조(英祖)의 딸로 후궁 영빈이씨(暎嬪李氏)의 소생이다. 사도세자(思悼世子)와 모두 영빈이씨 소생이다.
정우량(鄭羽良)의 아들인 정치달(鄭致達)과 결혼하였다. 정치달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연일(延日)이며 화완옹주와 결혼해 일성위(日城尉)가 되었으며 시호는 효민(孝敏)이다. 정치달이 일찍 죽자 정치달의 먼 친척인 정후겸을 양자로 들인다. 『조선왕조실록』에 실려 있는 정우량의 졸기에 의하면 화완옹주가 임금의 딸들 가운데에서 임금의 가장 깊은 사랑을 받았고 성질도 요사하게 혜민(慧敏)하였다고 한다.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갇혀 죽는데 큰 역할을 하고 정조가 즉위하기 전에 정후겸과 더불어 홍인한과 결탁하여 정조를 핍박한다. 정조가 즉위하면서 서인으로 강등당한다. 정조는 여러 차례 벌주라는 상소가 이르지만 “선왕이 사랑했던 사람”이라 하여 끝내 사약을 내리지는 않는다.
화완옹주의 묘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115-1 반구정에 있다.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承政院日記
璿源系譜紀略
承政院日記
璿源系譜紀略
[집필자]
심량근
대표명 | 화완옹주(和緩翁主) |
봉호 | 화완옹주(和緩翁主) |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